마흔에 쓰는 자서전
데이브 지음 / 일리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마흔에 쓰는 자서전

<일리/데이브 지음>


안녕하세요. 제스트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책은 '마흔에 쓰는 자서전'입니다.




자서전이라니 내가 곧 죽는 건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인생을 정리한다는 차원에서 10년마다 자서전을 쓴다는 사람도 있다고 소개합니다.

확실히 마무리를 의식하고 산다는 것은 현재를 더 의미 있게 살기 위한 장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저는 나이 마흔이 넘었습니다.

곧 쉰을 바라보는 나이입니다.

마흔이 되기 전에 자서전을 쓴 유명인들도 소개합니다.


미국 대통령이었던 버락 오바마는 어린 시절의 삶과 시카고에서의 시민운동 이야기를 담은 자서전

<내 아버지로부터의 꿈(Dreams from My father)>를 서른넷이던 1995년 펴냅니다.

자서전을 쓴 이후 극적인 삶의 변화를 경험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저도 잘 몰랐던 버락 오바마는 아버지가 케냐 출신 흑인이고 어머니가 백인 출신이라고 합니다.

어머니가 인도네시아 출신 새아버지와 재혼해 인도네시아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습니다.

하와이에서 외조부모 밑에서 청소년기를 보냈습니다.

이방인으로 살아온 그는 방황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정체성을 찾기 위해 자서전을 쓰기로 결심한 것은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자서전을 쓰고 자신의 과거를 인정하고 정리하고 툴툴 털고

새로운 인생을 살아나갈 힘을 얻어내는 건 아닐까 싶습니다.

이해하지 못했던 아버지에 대한 감정을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었다고 생각됩니다.


화가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는 38살이던 1952년 자서전

<나는 세계의 배꼽이다>를 펴냅니다.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은 35살에 자서전

<샤갈, 내 젊음의 자서전(My Life)>를 썼습니다.


한국의 안정효 작가는 <안정효의 자서전을 씁시다>라는

글을 시작으로 3번이나 자서전을 남겼습니다.

구본형 작가는 50살에 <나 구본형의 변화 이야기>라는 자서전을 펴냈습니다.


10년에 한 권씩 본인의 이야기를 편찬해

10년마다 한 권씩의 기록을 남기려 했다고 소개합니다.

자서전이라고 해서 일대기를 남길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특정 시기, 사건, 주제만 다뤄도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접근이 쉬워질 듯합니다.

정말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 자서전이라고 생각됩니다.

누구나 치열하게 하루하루를 살아내기 때문입니다.


책 마무리에는 자서전 쓰기 팁을 나누고 있습니다.

자서전의 형식과 연보 작성 6단계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자서전 한 권씩 들고 있을 듯합니다.


첫째 아이가 10살이 넘었습니다.

'마흔에 쓰는 자서전'을 읽다 보니

어느새 10살이 넘은 첫째 아이의 관찰기만 해도 제가 쓸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아이의 성장기와 엄마의 성장기를 버무리면 책 한 권이 나올 것만 같습니다.

저는 시작은 잘 하는 편입니다.

이렇게 구상은 시작하지만 그것이 구체화되어 책으로 나오려면

앞으로 또 다른 10년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마흔에 쓰는 자서전'을 따라서 끄적이다 보면

그 글이 모여 자서전으로 나올 수 있을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신기한 책입니다.


글을 쓰려는데 글감이 떠오르지 않는 분들께

'마흔에 쓰는 자서전'이 책을 권합니다.

이상으로 '마흔에 쓰는 자서전' 서평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