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럴까? 중학 과학 - 질문과 답으로 익히는 과학지식
사가와 다이조 지음, 박재영 옮김 / 시그마북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왜 그럴까? 중학 과학

<시그마북스/사가와 다이조>


안녕하세요. 제스트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책은 <왜 그럴까? 중학 과학>입니다.


이 책은 중학교 과학에 해당하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기초부터 이해하기 위한 책입니다.

원리를 알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고 기억에 남는다는 신조로 말입니다.




권말 자료에서는 실험관찰까지 해서 기록해 줍니다.

중학교 수준의 과학 공부가 필요하신 분께 권하는 책

<왜 그럴까? 중학 과학>으로 귀여운 일러스트와 함께

머리 한 번 식혀보시는 건 어떨까요.


<왜 그럴까? 중학 과학>은 무턱대고 외우는 공부법이 아닌

왜? 에 대한 답을 원리부터 이해해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과 연결해 공부할 수 있는 책입니다.


일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질문과 답을 정리한 책입니다.

과학의 4분야에 대해 서로 원리를 연결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기초과학에 대한 연구가 한국보다 일본이 더 열심이라는 뉴스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일본 작가가 만든 책이지만 대한민국 학생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신의 모습을 거울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평소에 궁금하지 않으셨다고요?

그래도 잠시 궁금한 척 해보겠습니다.

정답은 바로 '자신에게서 나온 빛이 거울에 반사되어 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이 책의 장점은 정답을 숨기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질문과 답이 바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과학의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답이 궁금한 친구는 문제와 정답을 보겠지만,

원리가 궁금한 친구는 조금 더 깊은 해설을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그 이유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줍니다.

빛의 반사와 빛의 반사법칙을 다룹니다.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은 거울은 입사광과 반사광이 같아서

거울면에 대칭되는 위치에 실물과 크기가 같은 상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전신의 모습을 거울로 보려면 최소한 자기 키의 절반 크기인 거울이 필요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물이 담긴 유리컵에 나무젓가락을 넣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꺼내보면 멀쩡한 젓가락이 유리컵 안에 들어가면 휘어진 듯 보입니다.

나무 젓가락 대신 쇠젓가락을 넣어봐도 마찬가지로 휘어져 보입니다.


왜 그럴까?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짧게 스쳐 지나간 생각을 해봤다면

해답도 분명히 궁금하셨을 겁니다.


<왜 그럴까? 중학 과학>에서는 이렇게 문답식으로 짧은 과학 상식을 중학교 수준에서 풀어갑니다.

젓가락이 물의 표면에서 꺾여 보이는 이유는 바로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빛이 공기라는 매질에서 물속이라는 매질로 변하면서 굴절력의 차이로 이렇게 꺾여 보이게 됩니다.

입사각과 굴절각을 설명합니다.




안경사라면 누구나 아는 기본 물리학입니다.

안경렌즈의 반사와 굴절 등에 대해 배우기 때문입니다.

오랜만에 빛의 굴절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왜 그럴까? 중학 과학>은

엄마의 학창 시절을 떠올리고,

초등 고학년인 아이에게는

새로운 지식을 전달하는 책입니다.


#책세상맘수다

#왜그럴까중학과학

#왜그럴까

#중학과학

#시그마북스

#사가와다이조

#박재영

#과학지식

#호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