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0분 초등 고전 읽기 - 초등 3, 4학년에 시작하는
이아영 지음 / 비타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아영 #초등3학년 #초등4학년 #하루20분고전읽기 #하루20분초등고전읽기 #초등고전읽기 #고전읽기 #공부머리 #사고머리 #독서습관 #강남구립못골도서관 #도서관장 #매일20분고전읽기 #고전읽기습관 #사자소학 #소학 #명심보감 #논어


안녕하세요. 호곤별다방입니다.


오늘은 초등 3, 4학년에 시작하는 <하루 20분 초등 고전 읽기> 소개해 드릴게요.

책사진은 제 블로그에 많아요~

https://blog.naver.com/zest/222302366393




초등 생활에 고전 독서가 꼭 필요한 이유는 뭘까요.


다소 어려워 보이는 고전 읽기를 어떻게 실천하고 습관화할 수 있을까요.


실제로 초등 4학년 아이들과 학부모가 함께 읽어나간 명심보감 후기,


중학생 딸과 아빠가 논어를 읽어나간 편지를 엿보며 독서감상을 어떻게 나누면 좋을지


사례를 들어 초등 고전 읽기가 넘사벽이 아님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해요.


하루 20분정도 투자해 고전읽기가 가능하다면 조금 도전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특별한 스킬이 없어도 아이와 즐겁게 놀이하듯 즐길 수 있는


하루 20분 초등 고전 읽기 함께 읽어 볼게요~




국어의 기초 개념 70%는 초등학교 시절의 독서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해요.


독서 입문기인 초등 1, 2학년에 그림책처럼 짧은 글로 책에 흥미를 갖기 시작한다면


초등 3, 4학년에는 얇은 글책과 중간 두께의 글책에서 두꺼운 글책으로 점차 글밥을 늘려가야


초등 고학년부터 중학생 무렵의 다독기와 성숙 독서기(고등학생 이후)를 잘 통과할 수 있다고 해요.



아이의 글밥을 늘린다는것은 집중력, 문해력, 상상력을 동시에 키우는 일인데요.


이 독서기를 잘 통과한 아이들은 자기가 습득한 언어로


글을 쓰거나 생각을 말하는자기 표현에 익숙해질 수 있다고 해요.


고전작품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고전 작품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


책을 읽는 독자도 그 세계와 만나려는자세를 갖추게 되면서


자기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세우는 방법과


이 구절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다는 바람을 실천하는 과정을


관화하면서 고전을 읽고 생각해 봤다고 할 수 있다고 해요.



고전의 내용이 아무리 방대해 보여도 한 편씩 끊어서


하루 20분만 투자해도 충분히 내용을 살필 수 있다고 해요.



책을 읽다보면 고전은 고리타분한 내용만 다루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정말 주옥같은 말들이 많더라고요.



독서모임을 시작하면서 이아영 관장님이 하시는 말씀이 와 닿더라고요.


'말로 설명하지 못하면 아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셨다고 해요.


머릿속에서 맴돌지만 설명하지 못한다는 건 나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내용이 아닐까 해요.


말로 내뱉거나 글로 쓸 줄 알아야 진정한 내 것이 되는 것이라고요.



아빠와 딸의 논어 편지가 부록으로 들어 있는데요.


해외에 유학중이라 편지로 주고 받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니 기록이 되어 이렇게 책으로도 나오네요.


글은 정말 소중한 기록이 되는것 같아요.



글을 쓰기 위해서는 사색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훌륭한 선인들의 뇌를 빌려서 사색하면 얼마나 깊은 사색이 가능할까요.


빠르게 가려하지 말고 매일 꾸준히 그리고 느리게 책을 읽어가며 그 의미를 되짚어 보는독서를 해나간다면


아이 생각이 지금보다 훨씬 더 크게 자랄 것이라고 생각해요.



독서모임을 함께 하며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을 소개해주는 것도 좋더라고요.


이아영 작가도 고백했지만 나이 40이 넘도록 고전 한 권을 제대로 읽어보지 못한 저도


구절 하나가 마음에 들면 그 고전을 찾아서 읽어보고 싶을 정도니까요.



'황금이 귀한 것이 아니라 안락함이 훨씬 더 값진 것이다'라는 명심보감 11편 38장 다음에 찾아 봐야겠어요^^



106페이지를 보면 엄마들은 고전 독서모임을 통해


내 아이가 이런 생각도 하는구나,


아, 아직 이 부분을 잘 모르는구나


라며 아이에 대해 감탄도 하고, 앞으로 어떤 부분을 더 챙겨야 할지 감이 잡히게 되는 것이


가장 큰 수확이 아닐까 싶어요.



아이와 부모가 고전을 함께 읽으며 서로 마음에 드는 구절을 하나씩 교환하다보면


선인의 머릿속에 서로 들어가 이야기하는 셈이니


발전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 같아요.



학년별 한학기에 한 권씩 필독 고전 독서 선정해 보아요.


초등3학년: 사자소학


초등4학년: 소학


초등5학년: 명심보감


초등6학년: 논어


옛 성인들의 지혜를 배우는 인문 고전 독서, 시작해 보아요~



144페이지에서는 고전 읽기 프로젝트에서 정한 나름의 3가지 원칙을 설명하고 있어요.


1. 아이와 함께 읽기


2. 천천히 읽기


3. 깊이 읽기


분량이 짧고, 끊어 읽기 좋은, 동양 고전으로


집중력과 어휘력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하루 20분 초등 고전 읽기 어서 펼쳐 보세요~



하루 20분 고전 읽기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1. 매일 1편씩 천천히 읽기


2. 마음에 와닿는 구절 반복읽기(짱구 노트: 짱 좋았던 구절)


3. 나만의 필사 노트 만들기


4. 내 생각을 말하기


#협찬 #호곤 #책세상맘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