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살 글쓰기 수업 - 내 아이 미래 리더 만드는 글쓰기 지침서
허정금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최근 집에서 학습을 하는 아이들이 대부분이라서 또 워킹맘의 고민이 생겼다.

그건 바로 글쓰기.

학교에서 글쓰기 수업을 선생님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닌 혼자서 글을 쓰고 선생님을 만나러 가야하는

초등학생에겐 엄청난 힘든 숙제가 아닐 수 없다. 글쓰는 법도 모르는데 기행문, 감상문, 주장하는 글 등등..

솔직히 이런 글의 종류를 이제서야 만나보는 아이들이 과연 혼자 글을 보면서

글을 쓸 수 있을 지 의문스러운 상황에서  교과서에 나오는 지문을 보고 글을 쓸 수 있을까?


수행평가라면서 기행문을 작성해오라는 숙제를 받고 꽤고 아이와 함께 고심을 했다.


물론 고학년이라서 스스로 하겠거니 하는생각으로 조금 멀지감치 아이들 방치하기는 했는데

막상 검사해달라고 가지고 왔는데 너무나 간단한 기행문이 내 눈앞에 왔었다는 것.


이런 글을 보고 참 한숨밖에 안나왔달까..

그러던 와중 만나게 된 아홉살글쓰기 수업 책.


물론 대부분 기본적인 독서습관이 길러지고 나서 즐거운 마음으로 글쓰는 자세가 미리 선행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나오는 순간 뜨김했달까나...


기본적인 습관. 참 중요한 것 같다. 어릴때는 아이에게 독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해서

집에서 있을 적에는 많은 독서를 한거 같은데 오히려 이런 엄마의 모습에 아이들은

책을 더 가까이 하지 않는달까..


그러다가 책이 점점 어려운 존재가 되어버린 순간 재미있게 읽으라고

재미있게 본 만화의 책을 또 사줬는데 그 책만 재미나게 읽고

지문이 길어지는 책은 전혀 손을 안대서 참 난관이 아닌 난관이 되어버린 독서 습관.


거기에 그런 독서가 이루어 지고 나서야 즐거운 글쓰기가 된다는데 .


읽다보니 처음부터 아이들에게 독서라는 것이 무겁게 다가갔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즐거운 기억을 글로 자연스럽게 써야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우리집은 그런 즐거운 분위기의 글쓰기는 아닌 해야할 글쓰기가 먼저였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에서도 그림일기를 일주일에 몇번 써야한다는 의무적인 숙제로 다가왔을 아이들에게

글쓰기가 그렇게 좋은 시간은 아니게 다가왔을까 하는 생각.

자연스럽게 즐거운 모습을 상상하고 자신의 느낀점을 자유롭게 써야한다는데

아이들에겐 왠지 모를 힘든 시간으로 처음부터 굳혀졌을꺼 같은 안타까움...


책을 읽고 드는 생각은 글쓰기를 잘한다기보다는 글을 써야하는 일들이 즐거워야 한다는 것을

알려줘야한다는 결론이 들었다. 나역시 다이어리를 채우면서 즐거웠던 학창시절이 있었는데

억지로 시킨다고 되는 것이 아닌게 글쓰기인데 아이들에게 너무 어려운 숙제를

나 스스로가 아이들에게 내린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거기에 즐거운 독서가 되기위해 아이들의 수준에 맞는 책들을 골리 재미나게 읽을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겠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