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이라. 그건 참으로 우습고도 현실적인 농담이지."

암 선고를 받고 마지막 생일 파티를 준비하던 70세 빅 엔젤.

생일 일주일 전, 100세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말았다!

인생에서 가장 성대해야 할 생일 파티는 시작부터 삐걱거리는데 ....?

 

 

 

 

사람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준비된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갑작스럽게 맞이한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죽음을 준비하는 주인공에게 일어난 이야기를 다룬다.

자신이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 사람은 어떤 준비를 하게 될까?

죽음이 눈앞으로 다가 왔을때 사람들은 생각한다. 나에게 가장 소중하고 미련이 남는 존재를...

그리고 그 존재는 아마 우리들의 가족이 아닐까 한다.

이 글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예전 나의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적이 생각이 난다.

당시에 나는 아버지가 몸이 아픈 기간이 오래되어서 언제 어떻게 돌아가셔도 놀라지 않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아파서 병원에 입원해 있던 기간도 길어서 일수도 있었지만 급작스럽게 아버지가 병세가 심해졌다는 연락을 받게 되면서 아버지는 돌아가실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고나 할까...

온 가족들이 모인 추석날이여서 인지 더욱더 아버지는 다른 친척들과 가족들 앞에서 세상을 떠나셨다. 복이면 복이였을... 외롭지 않게 돌아가셔셔 아버지에게 좋은 날이였다라고 말할 수 있는 순간이였기 바래본다.

 그렇기에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그의 노력이 예전 아버지를 떠올리기 했었다.

하지만  글은 이런 죽음을 맞이하는 시간을 무겁거나 외롭거나 안타깝게 풀어내지 않고, 유쾌하면서도 일상적인 한 사건처럼 다뤘다. 거기에 가족들의 성격들이 워낙에 불같고 독선적이여서 인지

여기저기서 고집스러운 가족들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고나 할까.

 

그 중에서는 가장 가부장적인 엔젤이 주 축이였지만 아마 그 역시 그의 모습을 아버지에게서 찾았다고나 할까. 그런 아버지가 떠나고 이젠 자신이 떠나게 된 엔젤.

 그는 자신의 생일과 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루는 시간 내내 과거 자신의 일들을 회상하게 된다.

  다시는 잊을 수 없는 아버지와의 대화.

 어느 순간에는 자신의 사랑을 만나게 된 그때와 

 다시 가족들이 모여서 지냈던 한 시절등등...

거기에 마지막 까지 자신의 허세아닌 허세를 보여주게 된 사건까지.

 

 

 총제적 난국인 가족들의 과거 이야기들을 보고 있노라면 앞으로 갈 자와 남겨진 자의

삶은 여전히 뒤죽박죽일듯 하지만 오히려 이런 이야기들로 가득해서 인지 세상을 떠날 빅엔젤은

더이상 미련이 없는 듯 하고 그런 엔젤이 떠남으로서 슬퍼할 시간이 없을 듯해 보이는 가족들의 이야기였다. 거기에 마지막엔 엔젤에 품지 못했던 첫 아들까지 나타나서 가족의 품으로 들어오게 되어서 어쩌면 이 이야기는 슬픔보다는 다사다난한 가족의 한 순간을 보여준 이야기 였다.

 

 거기에 빅 엔젤의 이복동생과의 대화를 하면서 그들이 각자에게 가지고 있어야 했던 짐과 알지 못했던 사연들이 풀어지면서 서로 웃지못할 기억들을 공유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이런 점들을 보면 과거 자신의 아버지 부터 욕을 했어야 했지만 그들은 그 아버지 마져도 "내 아버지!"라는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런 부분에서는 서로가 미워하지 못했다고나 할까...

 

흡사 가부장적인 한국의 아버지의 성격을 띄는 느낌도 드는 그들의 아버지였지만 이런 가장이 있었기에 이리 개성 강한 가족들이 모여지게 되어지지 않았나 하는생각도 든다. 그런 그가 없어지면 이제 그들을 이끌 이는 누가 될까? 라는 생각도 하게 되지만 그들의 가족은 또 어딘가에서 열심히 씨를 뿌리면서 잘 살것 같은 생각으로 그 가족들에 대한 걱정은 더 이상하게 되지 않게 된다.

 

 " 우리가 하는 건 말이다. 얘야, 바로 사랑이란다.

 사랑이 답이야. 아무것도 사랑을 막을 수가 없어.

사랑에는 경계도 없고 죽음도 없지."

 

과거엔 자신의 딸을 수발들던? 그가 이젠 자신의 딸에게 수발받은 상황이 되자. 욕설과 농담이 난무하면서 보내게 돼지만 가족이기에 가능한 삶이지 않을까 한다.

 

 

 읽는 내내 유쾌하면서 농담따먹는 식의 이야기들이 계속 나오지만 그 속에서는 우리들도 공감할 만한 일생의 사랑과 가족애들을 느낄 수 있다. 사랑이 항상 아름답고 찬란하게만 보여진느 것이 아니기에 욕하고 헐뜯으면서 그들의 가족들 사이에은 사랑이 있고 애틋함 흘러넘친다.

 

 아마 작가는 이런 모습을 빅엔젤의 마지막 삶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나 싶다. 삶에서 가장 슬퍼야할 순간도 이렇게 유쾌하면서 재미있게 보낼 수 있음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