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을 말해줘
이경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롱롱을 찾으면 정말 허물을 벗을 수 있을까.

영원히 허물을 벗으면 한 번도 어물 입지 않은사람 처럼 살 수 있을까.

한 번도 버림받지 않은 사람처럼 살 수 있을까."

 

 

온몸이 허물에 덮이는 피부병

밤의 도시 D구역에 격리된 사람들

재난과 질병에 포위된 인간의 극한 공포.

그리고 생존을 위한 단 하나의 간절한 '소원'

 

 

 

 

 뱀 허물 처럼 온 몸에 각질에 뒤덮여 살아가는 사람들이 모인 곳 D구역.

과거 그녀의 직업은 파충류 사육사 였지만 그 곳에 있는 그녀는

주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피부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됐다.

 그리고 그 방역센터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전설의 뱀이 폐허가 된 궁에 뱀이 산다는 소식을 듣고

그들과 함께 뱀을 꺼내러 가게 된다. 그곳에서 발견된 뱀은 사람들이 전설이라 여기는

뱀 '롱롱'이 있었고 그 곳에서 만난 뱀은  전설 속의 뱀이기 보다는 그져 이제 막 허물을 벗기 위해 때를 기다리는 한 마리의 뱀에 불과해 보였다.

 그녀는 그 뱀이 허물을 벗을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뱀의 등장은 전설의 등장이 되었고, 그 곳에 있는 사람들은 그 뱀이 허물을 벗는 순간

자신들의 허물도 벗어지게 될거라는 열망에 휩싸이게 된다. 거의 신격화 되기 시작하는 롱롱과

그 롱롱을 이용해 무언가를 꾸미고 꾸미려고하는 정부와 기업의 음모가 충돌하면서 그녀는

오로지 뱀이 허물을 벗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위해 노력을 시작하게 된다.

 

 피부병에 걸린 사람들이 모여있는 그곳에 있는 희망.

아마도 이 희망은 눈을 뜨면 보이는 자신의 병이 언젠가는다 나을거라는 희망에 비롯된

것이 아닐까? 자신역이 언젠가는 허물을 벗는 뱀처럼 깨긋한 몸을 다시 만날 거라는 희망.

그리고 매일같이 보는 병든 자들 사이에서 벗어 날것이라는 희망.

아마 이 희망 속에 나타는 한 줌의 붙들거리였다는 한가지.

물론 그 희망이 각자의 시선 속에 어떻게 부풀려 졌을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 속에서는 누군가에게는 희망이였던 것이 누군가에게는 돈벌이와 욕망의 덩어리였고,

누군가에게는 그냥 도와주어야 할 존재였다는 것이 아니였을까...

 

책은 판타지 속에 만난 우리의 무속신항과도 비슷한 이야기가 엮인 분위기가 많이난다.

그런 민중들의 심리를 교모하게 이용한 더 큰 주체의 욕망과 함께 말이다....

 

벗어날 수 없는 현실 속에서의 희망.

아마 이 부분이 큰 이야기였지 않았나 싶다. 

 예전 피부병을 앓은 기억이 읽으면서 떠오른다.

당시에는 임신성 아토피였긴하지만 온몸이 가렵고 각질이 일어나고 그 각질이 심해지면 짓물이 나왔었는데 딱 책속의 사람들의 상황같았다고나 할까...

당시에 나는 내가 이 피부병이 나아지기는 할까...

아이에게 유전이 되어서 똑같은 삶을 가지고 살아가야하나 엄청난 고민 속에서 임신기간을 지낸기억이 난다. 

 다행이 아이가 태어남과 동시에 독한 피부과약을 먹고 나아서 지금은 계절이 지날때야 그 아토피가 올라오기는 하지만 당시에 상황에서는 뭐든 하고 싶었고 뭐든 믿고 싶었던 기억이 많이 떠오른다. 아마도 이 기분이 책 속 D구역 사람들의 마음이 아니였을까나...

 

이야기의 마무리도 나와 같은 긍정적인? 마무리여서 그런지 예전 몇년간 고생한 기억이 새록 떠오르게 한 이야기였다. 작가의 상상속의 세계 속에 잠시 살았던 거 같은 느낌도 들었고,

 재미난 시간이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