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 불확실한 삶을 돌파하는 50가지 생각 도구
야마구치 슈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초당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일상의 고민에서 비즈니스 전략까지,

지적 전투력을 극대화하는 철학적 사고법

"철학은 반드시 답을 찾는다."

책을 만나는 과정에 있어 피하는 분야가 있다. 철학과 인문학. 현실과는 조금 동떨어지고 실체 없는 무언가를 항상 생각하는 느낌이 드는 분야라 생각해서 일까... 아니면 나의 숨겨진 내면이 나쁜 쪽? 임이 밝혀지기 무서워서 였을까?

이번 책은 그 피하는 분야의 책을 한번 읽어봤다. 거의 모르는 내용들이 한가득이라는 생각으로 힘겹게 읽었다고 할까.. 하지만 또 저자 나름의 철학이 현실에서 어떻게 반영이 되는지에 대한 생각과 예시를 읽기 쉽게 써 내려간 느낌이 있다. 철학 하면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전부라 여긴 나에겐 여러 철학자들을 만나 볼 수 있었던 기회였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철학이 현실에 동떨어지고 어려운 것이 아니라고 조목조목 이야기하고 있다. 거기에 그 철학이 비즈니스와 만나게 되면 어려운 문제나 상황의 돌파구와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사람에 대한 이해와 상황에 따른 원인과 중점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철학이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민과 행동에도 철학적인 사고가 따른다는 것이다. 은근 이 부분에서는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역설적인 사고방식.

개인적으로는 비판적인 사고를 자주 하는 나로서는 내 의견이 옳은지 그른지 상대방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데 소심한 이런 생각이 어쩌면 철학의 사고방식의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나 할까... 거기에 조직에서 이런 악마의 대변인과 같은 존재가 생각하지 못했던 의견을 도출해 내는데 필요한 존재가 될 수도 있다는 것까지.

하지만 또 이런 사고에 대한 경고와도 같은 조언들이 후반에 또 나온다. 자신의 사고 속에 또 다른 오류 역시 존재한다는 것.

철학은 다양한 사고와 의견이 있고 당시의 시대에 맞는 해결방안을 시대별로 진화했다. 그리고 급변하는 지금의 시대에서도 필요한 사고와 버려야 할 사고가 있다. 조금은 동떨어진 철학의 느낌이 드는 문장이긴 하지만 책을 읽다 보면 현실 속에 나도 모르게 철학적 사고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게 된다. 아마 이런 점을 저자는 이야기하고 싶지 않았나 한다. 철학의 한 구절을 현실의 조직과 삶에 비유해 가면서 조목조목 이야기해주는 것. 거기에 여러 사고가 결국엔 자신만의 무기가 된다는 것까지.

처음엔 무겁고 이상적인 이야기라 여긴 철학의 한 구절들이 현실에선 이렇게 반영이 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준 이야기였다고 할까. 가벼운 철학 입문 책이라는 생각도 들고, 어쩌면 우리가 알고 있던 철학적 대사들이 현실과 저자를 알지 못한 무지에서 나온 결과의 하나라는 생각도 깨닫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