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친』 - 공간의 상실을 포용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


 Kitchen. 부엌. 이 책은 Kitchen 1, 그리고 그 뒷 이야기인 만월(키친2), 또 다른 이야기인 ‘달빛 그림자’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세 이야기(어찌보면 둘인)를 관통하고 있는 단어가 두개 있다.

 ‘상실’. 그리고 ‘포용’.


 키친의 주인공, 사쿠라이 미카게는 오랫동안 곁에 있어준 할머니를 저 먼 곳으로 떠나보내게 된다. 그리고 할머니의 장례식에 찾아온 다나베 유이치. 미카게와 유이치의 만남으로부터 이 소설은 시작한다.


 키친, 부엌이 이 소설의 제목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미카게가 부엌을 끔찍이도(작가의 표현 그대로다) 좋아하기 때문이다.

 언제나 집에 있어준 할머니의 존재. 그러나 그 존재를 떠나보내고 나서 그녀에게 집은 너무나도 허전한 공간이었던 것이다. 부엌의 냉장고의 위이잉 하는 소리에 의지해 잠들어야 할 정도로.


 작가는 처음 냉장고라는 무생물에 기대 고독을 잊으려 하는 사쿠라이 미카게의 부엌을 통해 그녀의 심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보여준다.

 다나베 유이치의 집에 간 후 부엌을 자신의 공간으로 만들며 다나베의 집이라는 공동체에 편입되게 되는 과정과(키친 1), 부엌이라는 공간을 직업으로 삼으며 새로운 출발하는 미카게의 모습, 그리고 채우지 못한 허전함을 유이치를 통해 보름달(만월)처럼 꽉 채워진 공간으로 만들어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달빛 그림자’의 경우 고양이 방울로 만나 우라라라는 여성을 통해 상실을 포용하게 된다는 면에서 매개체를 통한다고 볼 수 있겠지만 이 또한 ‘상실’과 ‘포용’ 이라는 점에서 키친의 이야기의 틀 안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요시모토 바나나는 에리코 씨나 세일러복을 입고 이별을 잊으려 하는 히라기 등 특이한 성격의 사람들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그 특이함을 그저 지나칠 수 없는 것은, 김춘추의 시 ‘꽃’에서도 볼 수 있듯 우리는 서로에게 모두 다른 각별한 사람이기 때문이 아닐까. 특이한 이 존재들은, 실은 우리의 모습이 투영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필연적으로 느끼는 공간의 상실감... 요시모토 바나나는 그 모습을 ‘키친’을 통해 담담히 서술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란츠 파농 역사 인물 찾기 13
알리스 셰르키 지음, 이세욱 옮김 / 실천문학사 / 2013년 4월
품절


당시의 정치적 맥락을 차지하고 보면,
『알제리 혁명 기원 5년』에서 파농이 행한 분석은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피지배자들의 주눅과 지배사회의 기술이나 가치에 대한 거부,
그 거부의 한 형태로 나타나는 타자에 대한 부인과 불투명한 태도,
그리고 자기 운명을 스스로 책임져야 할 필요성이 절박해짐에 따라
그 기술과 가치를 받아들이는 쪽으로 변화하는 것,
이 모든 것은 아프리카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럽에서도 여전히 현실의 문제로 남아있지 않은가?

'프란츠 파농', 실천문학사
-3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란츠 파농 역사 인물 찾기 13
알리스 셰르키 지음, 이세욱 옮김 / 실천문학사 / 2013년 4월
품절


"지도자들과 젊은 운동가들 중에는
오로지 독립에만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많았다.

아반과 벤 므히디는 달랐다.
벤 므히디는 대단히 인간적인 지도자 였다.
그는 우리 고교생들과 대학생들에게 다가와
우리의 동기와 알제리의 미래에 대한 우리의 생각에 대해서
질문을 하곤 했다.

아반은 더 급진적이었다.

어느날 밤, 그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했다.

'우리의 투쟁은 오래 갈 것이다.
여러분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이 투쟁에서 목숨을 잃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알제리의 독립으로 모든게 끝나는 것이 아니다.

독립은 그저 하나의 시작일 뿐이다.'

그 말은 오랫동안 나의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당시의 나는 열일곱 살이었다.

그곳 제 4빌라야에 모여있던 고교생들과 대학생들의 동기는 저마다 달랐다.
독립 이외에는 어떠한 정치적 전망도 지니고 있지 않은 젊은이들이 있었는가 하면,
사회 변혁을 꿈꾸는 사람들도 있었고,
이슬람의 수호를 우선적인 동기로 삼고 있는 축도 있었다."

- 사피아 바지

'프란츠 파농' , 실천문학사
-2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