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키친』 - 공간의 상실을 포용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
Kitchen. 부엌. 이 책은 Kitchen 1, 그리고 그 뒷 이야기인 만월(키친2), 또 다른 이야기인 ‘달빛 그림자’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세 이야기(어찌보면 둘인)를 관통하고 있는 단어가 두개 있다.
‘상실’. 그리고 ‘포용’.
키친의 주인공, 사쿠라이 미카게는 오랫동안 곁에 있어준 할머니를 저 먼 곳으로 떠나보내게 된다. 그리고 할머니의 장례식에 찾아온 다나베 유이치. 미카게와 유이치의 만남으로부터 이 소설은 시작한다.
키친, 부엌이 이 소설의 제목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미카게가 부엌을 끔찍이도(작가의 표현 그대로다) 좋아하기 때문이다.
언제나 집에 있어준 할머니의 존재. 그러나 그 존재를 떠나보내고 나서 그녀에게 집은 너무나도 허전한 공간이었던 것이다. 부엌의 냉장고의 위이잉 하는 소리에 의지해 잠들어야 할 정도로.
작가는 처음 냉장고라는 무생물에 기대 고독을 잊으려 하는 사쿠라이 미카게의 부엌을 통해 그녀의 심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보여준다.
다나베 유이치의 집에 간 후 부엌을 자신의 공간으로 만들며 다나베의 집이라는 공동체에 편입되게 되는 과정과(키친 1), 부엌이라는 공간을 직업으로 삼으며 새로운 출발하는 미카게의 모습, 그리고 채우지 못한 허전함을 유이치를 통해 보름달(만월)처럼 꽉 채워진 공간으로 만들어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달빛 그림자’의 경우 고양이 방울로 만나 우라라라는 여성을 통해 상실을 포용하게 된다는 면에서 매개체를 통한다고 볼 수 있겠지만 이 또한 ‘상실’과 ‘포용’ 이라는 점에서 키친의 이야기의 틀 안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요시모토 바나나는 에리코 씨나 세일러복을 입고 이별을 잊으려 하는 히라기 등 특이한 성격의 사람들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그 특이함을 그저 지나칠 수 없는 것은, 김춘추의 시 ‘꽃’에서도 볼 수 있듯 우리는 서로에게 모두 다른 각별한 사람이기 때문이 아닐까. 특이한 이 존재들은, 실은 우리의 모습이 투영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필연적으로 느끼는 공간의 상실감... 요시모토 바나나는 그 모습을 ‘키친’을 통해 담담히 서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