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나의 시민들 슬로북 Slow Book 1
백민석 글.사진 / 작가정신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이 참 좋다. 마치 여행지에서 길을 잃어버린 것처럼 가이드북 없이 돌아다니며 사람들과 맞닥뜨리고, 사물과 조우하고, 경치 속으로 들어가 하나가 되는 그런 일기 같은 여행기. 게다가 쿠바라니. 이보다 더 신선한 여행기가 어디 있을까,

 

백민석 작가는 소설가로서 여러 책을 냈지만 안타깝게도 그의 책은 내가 알만큼 유명하지 않았고 그래서 나는 그의 작품들을 만나보지 못했다. 그런데 그가 이번에 첫 여행기를 냈다. 그것도 쿠바를 다녀와서,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들을 묶어 여행 사진 에세이로 펴냈다. 그래서였을까. 그의 첫 여행기 <아바나의 서민들>은 신선했고 풋풋했다.

 

자기 자신을 당신이라는 이인칭 아니 삼인칭으로 지칭하며 자기가 자기에게 대화를 하듯 풀어내는 기록들은 살아 움직이는 예술체로 책 전체를 쿠바색으로 가득 채웠다. 쿠바색은 석양의 붉은빛이었다가 해변의 푸른빛이었다. 흑인들의 까만색이었다가 골목의 흐릿한 색이 되고, 강렬한 태양의 노란 색이었다가 활짝 웃는 여고생들의 흰 색이 되었다.

 

저자가 줄곧 감탄한 것은 쿠바의 아바나 전체가 하나의 살아 움직이는 예술체가 된다는 것이었다. 지나가는 사람의 걸음걸이, 바다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노인 등 우연히 대중매체가 시원찮은 아바나에 태어나는 바람에 필연적으로 문화의 소비자가 아니라, 문화의 생산 주체가 되었다고 말한다. 그것이 여행자들에게 축복이었다. 물론 34일 아바나에 머물렀던 다른 여행객들은 아바나에서 도무지 볼 게 없었다고 한다. 아바나에는 마추픽추, 이구아수 폭포, 팜파스 소 떼 같은 것들은 없다. 하지만 저자가 푹 빠져버린 아바나에 대한 찬가를 들어보자.

 

아바나 어때?” “멋져, 정말 멋져.” 쓸데없는 대화다. 아바나에 대해서라면 당신의 언어는 무력하고, 백 마디의 말보다 사진 몇 장이 더 효과적이다. (160)

 

좀더 들어보자.

 

쿠바에서는 스펙터클한 대자연의 장관이 언제나, 다양하게 펼쳐진다. 당신이 알던 그 태양이 아니고, 그 구름이 아니고, 그 파도가 아니고, 당신이 알던 그 하늘이 아니다. ... 누군가의 말처럼 셔터만 눌러도 사진이 되어 나온다.” (155)

 

아바나의 진정한 볼거리는 자연경관이나 유적보다 길거리를 걸어 다니는, 아바나의 현재를 구성하는, 과거를 짊어지고 미래를 향해가는 시민들인데.” (136)

 

쿠바는 여러 인종이 모여 사는 나라다. 원래는 인디오 원주민이 있었지만, 스페인이 정복하면서 대부분 죽어 버렸고, 지금은 백인과 아프리카에서 데려온 흑인, 그리고 그들의 혼혈인이 함께 살고 있다. 쿠바에는 4000여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1514년 원주민 인디오들이 스페인으로 주인이 바뀌게 되고, 식민지 경영을 둘러싸고 미국과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1899년 미국이 새로운 주인이 된다. 이때 그 유명한 관타나모 미국 해군기지가 건설된다. 친미 독재정권이 계속 집권하다가 1959년 카스트로가 이끄는 혁명군이 쿠바인의 정부를 세우게 된다.

 

쿠바는 사회주의 국가이다. 그런데 작가도 놀란 것처럼 그가 만난 사람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런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환상을 모두 깨뜨려버린다. 사방에서 라틴 댄스 음악이 울려퍼지고 춤을 춘다. 젊은이들은 서로를 껴안고 키스하며 정열을 불태운다. 밤이 되면 헤비메탈 그룹들이 굉음을 쏟아내며 젊음을 끄집어낸다. 담배를 피우는 십대들은 치렁치렁한 머리에 검은 아이섀도, 검은 매니큐어, 검은 셔츠와 검은 레깅스, 입술과 귓불을 피어싱을 장식하고 나타난다.

 

아바나를 여행한다면, 당신은 여행객이면서 동시에 사색가가 된다. 작가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자기도 모르게 아바나에 푹 빠지게 된다. 길거리 하나, 곧 무너질 것 같은 돌담이 사랑스럽고, 길거리를 걸어가는 사람들이 언젠가 본 것처럼 낯이 익는다. 그가 찍은 사진들은 화려한 유적지가 아니라, 골목, 사람, 사람들이다. 쿠바 아바나에서 단 두 곳에만 팔았다는 싸구려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약간은 질이 낮은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사진들이 우리를 낯선 곳으로 이끈다. 이국적인 사람들과 이국적인 거리는 독자들의 혼을 쏙 빼놓는다.

 

진짜로 그는 가이드북 없이 돌아다니다 길을 여러 번 잃었으며, 그때마다 가이드북에서 소개해주는 것보다 훨씬 더 좋은 장면들을 만난다. 같은 장소에 여러 번 가도 그곳에서는 늘 다른 이야기들이 펼쳐졌다.

 

나는 언제 쿠바를 가볼 수 있을 수 있을까, 그런 불가능한 상상의 고통은 이 책을 통해 치유된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가 혼재된 곳, 과거의 현재가 혼재된 곳, 백인과 흑인이 혼재된 곳, 일상이 예술처럼 펼쳐지는 곳. 우리가 살아서 쿠바에 가볼 수 있다면 그 또한 축복이 되리라.

 

천천히 읽으라고, 마음의 속도로 읽는 슬로북이라는데, 미안하게도 이틀만에 다 읽어 버렸다. 물론 다시 천천히 사진을 마음으로 읽고 그들과 하나가 되고 싶다. 이 책은 마음으로 읽는 책이다. 마음으로 아바나의 도시를 끝없이 걷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