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늘진 말들에 꽃이 핀다 창비시선 415
박신규 지음 / 창비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 속에 간간이 보이는 제주와 관련된 시편들과 제주사투리가 눈에 띈다.

예컨대 <늙은 무사>에서 시인은 무사(왜라는 제주 사투리)와 武士의 경계를 허물며

제주도 인심의 츤데레(?)한 면을 재치있게 풀어내고 있기도하고, 또 다른 시편들에서

보이는 식게(제사祭祀의 제주사투리)나 숨비소리(해녀들이 물질을 마치고 물 밖으로 올라와 

가쁘게 내쉬는 숨소리)같은 단어들은 처음듣는 방언이기도 하다.


아울러 시집 사이사이 놓여진 인명을 부제로 달고 있는 시편들은 

시인의 사생활과 내밀한 감정을 엿보게 하는 어떤 조각들이다.


제1부에서는 사랑, 그리움, 가족들에 대한 기억들이 좀 많이 담겨 있는 듯 하다.

제2부는 시인의 삶 배후에 보일듯 말듯 놓여있는 존재들을 조명한다. 

제3부는 삶과 죽음 더러움과 숭고함을 향토적 언어로 덧칠한다.  


시집 속에 숨어있는 꽃과 관련된 시들을 하나의 실마리로 읽어나가도 좋을 듯하다.

제목이 가리키고 있듯이 말이다.


대표시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어렵지 않은 시 하나 옮겨 적는다.



버스가 떠난 뒤 한 남자가 운다,
이번 생애 주어진 슬픔을
모조리 쏟아부을 것처럼 맹렬하게
맞은편 정류장에는 그 남자의 울음을
뭉텅 덜어와 품고 싶은,
덜어온 슬픔만큼 더 서럽고 싶은
또 한 여자가 흐느낀다

몸에서 마음속으로 
마음에서 몸속으로 들어갈수록
무구(無垢)해지다가 불식간,
섞이는 것이 눈물의 속성
눈물이 나기 시작하면 계속 눈물이 나고
눈물이 나서 더 눈물이 나는 것

생의 정오엔 우는 일만 남았다는 듯
광화문 한여름 땡볕 아래
버림받은 어깨들이 운다
울다가 버림받은 사실도 잊은 채 집중하면서
열렬하게 전력을 다해
어린애처럼 운다, 종내는
어린아이들이 운다


-<슬픔의 질량> 전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