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0세기 90년대 전반에 걸쳐 중국 지식인의 역사적 처지를 개괄하자면, 첫째, 민주화 운동의 실패 이후 정치적 민주화 담론의 중단과 이로 인한 지식인들의 좌절과 방황, 변혁의 방향을 시장개혁과 경제 개발로 전환했다는 점. 둘째, 시장화의 진전에 따라 지식인들이 느끼는 모순과 곤혹감. 셋째, 국내개혁이 전지구화 과정으로 전이되었지만, 동시에 주변국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위기와 전쟁을 마주하며 느끼는 이질감, 사상적 위기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자유주의와 신좌파의 구도와 대립으로 중국 지식계를 묘사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유주의는 하나의 이론일 뿐 아니라 특정한 사회 사조를 지칭하기도 한다. 하지만 지난 세기말 중국에 뿌리내린 자유주의는 추상적인 시장개념 위에 사회적 불평틍과 경제와 정치의 내적 관계들을 은폐하며 맹목적 시장주의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유주의는 민주주의와는 무관하고, 또 실질적 시장 개념과도 상반된다.
지난세기 중국의 동요와 혼란은 평등이라는 가치의 왜곡 혹은 실천불가능으로부터 유발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사회주의 운동은 평등의 차원에서 이룬 성취가 아니라 그 과정 속에서 야기된 새로운 신분제다. 그것은 문혁 당시 우나극(遇羅克)의 혈통론 사건으로 불거지기도 했다. 따라서 중국사회의 곤경과 문제를 평등의 문제로 환원하는 것은 단순한 생각이다. 중국의 이익분화와 불평등한 과분과정의 기저에는 국가 독점과 공유제의 명목하게 기능하는 시장 관계가 숨어있다.
같은 논리로, 중국의 문제를 민족주의나 인민주의로 환원하여 결론짓는 것도 역사의 실상을 너무 단순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구체적 사건에 대한 논의 없이 단순한 '주의"에의 분석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민족 중심주의와 글러벌리즘의 미명을 빌린 국제적 헤게모니에 대한 반항은 구별되어야 한다.
*춘추번로 심찰명호편
*이지 분서 제3권 거우처사, 비향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