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thirsty > 주어와 보어의 수의 일치
* 방명록에 올리신 toto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영어에서 ‘일치(agreement or concord)’는 문장의 한 요소의 수(number), 성(gender), 시제(tense), 인칭(person), 격(case) 등이 다른 요소의 그것과 일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금 문제는 그 중 ‘수의 일치(number agreement)’이고, 유명한 일치 규칙인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subject-verb number agreement)' 외에도 주어와 주격 보어간에 수의 일치가 반드시 성립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좁아집니다. 혼란이 생긴 원인은 일부 오래된 영문법서 중에 이를 규칙처럼 설명한 것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용 영문법서인 “이환묵, 영어통사론, 한국문화사, p.40”에 보면,
“명사구가 보어일 때는 주어보어는 주어와, 그리고 목적어보어는 직접목적어와 수가 일치한다.
My child is an angel.
My children are angels.
I consider my child an angel.
I consider my children angels.”
위의 설명과 예문은 모두 1985년에 나온 최고 권위의 전통문법서 Randolph Quirk et al,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CGEL), p.767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인데, 원문에 있던 “…통상(usually) 일치한다.”에서 usually를 빼먹은 것입니다. 또한 같은 페이지에 나온 수많은 예외 문장들을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My only hope for the future is/are my children.
More nurses is/are the next item on the agenda.
Their principal crop is potatoes.
(Potatoes are their principal crop 식으로 뒤집을 수도 있고 다른 문장들도 마찬가집니다.)
Good manners are/is a rarity these days.
The younger children are a problem.
(집합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is도 가능합니다.)
Dogs are good company.
What we need most is books.
What is needed most is books.
2002년에 Cambridge University Press에서 나온 또 하나의 대작 문법서, 그간의 언어학 발달의 성과를 반영했다는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약자는 저자들의 다분한 고의에 의해 역시 CGEL로 표기됩니다)에서는 설명 방식이 다릅니다. 512페이지를 보면 아예 주어와 보어 사이에는 “no agreement of number(수의 일치는 없다)”고 합니다. 예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only thing we need now is some new curtains.
The major asset of the team is its world-class opening bowlers.
Our neighbors are a nuisance.
The people who live out there are a minority group.
The accidents were the result of a power failure.
His Ph. D. thesis was simply four unrelated articles collected together.
이와 같이 너무 많은 예외는 이를 문법 규칙으로 정할 수 없게 하고, 따라서 My daughter is doctors 또는 Kate and Jane want to become a dancer 같은 문장은 의미상 모순이 있기 때문에 틀린 문장이다라고 설명하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실제 이와 같이 의미상 모순이 있는 주어와 보어의 일치 문제는 모국어화자를 대상으로 한 SAT 문법시험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문제에서 밑줄 부분에 문법 또는 스타일 상 가장 적합한 문장을 고르는 문제인데, (A)는 원래 문장과 같아서, 원래 문장이 답이라고 생각할 때 고르면 됩니다. 정답은 (C)인데 바로 위에서 설명한 바를 묻는 거지요.
Knowing the roots of words that are hard to spell helps students to become a better speller.
(A) helps students to become a better speller.
(B) is helpful to students who want to be a better speller.
(C) helps students to become better spellers.
(D) is helpful to students in becoming a better speller.
(E) helps a student be better spellers.
지금까지의 설명의 핵심은 주어와 주격 보어(또는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수의 일치란 문법규칙(통사론적 규칙)이 아니다. 오히려 논리적(의미론적)으로 앞뒤 모순이 없어야 한다(논리적 일치)는 것입니다.
모국어화자들이 어떻게 쓰나 인터넷에서 몇 개의 문장을 찾아 보았습니다.
Though colors, trends and expectations of Valentine's Day might change over time, one thing stays the same. The most popular gift for many to give or receive on the holiday is still flowers
Flowers are the most common gift. But as the popularity of flowers keeps growing, their price also surges around Teacher’s Day. The report also said that bouquets are still a popular gift despite their high price.
Flowers, chocolate and jewelry top the gift-giving lists of most experts this year, in that order. Spending on those gifts, however, is broken down differently. Jewelry hauls in the most revenue for the special day, but flowers are still the more popular gift by far.
The most popular gift is flowers. (O)
The most popular gift is a flower. (?)
위 두 문장을 놓고 볼 때는 위의 문장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그 이유는 ‘선물을 꽃 한 송이 달랑 주는 것이 관행’이라는 뜻이라야 아래쪽 문장이 어울리니까요. 즉, 관사의 총칭 용법(generic use.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대표 단수’라는 식의 용어를 쓰지요.)에도 제약이 있다는 겁니다. 한편 다른 대표형인 ‘정관사+단수명사’를 써도 어색한데, 그 이유는 여러 꽃 중에서 특정 꽃을 주는 것이 인기라는 뜻으로 해석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The most popular gift is the flower. (?)
한편 The most popular gift is a bouquet/bundle of flowers (꽃다발) 식으로 쓴다면 위의 논란에서도 빠지고 의미도 더 정확해질 수 있겠지요.
(Michael Swan, Practical English Usage, 제2판, 506.2(p.530)에도 간략하지만 설명이 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