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thirsty > What과 How

 (1) How do you think (about this)? (X)

(2)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O)

(3-1) How do you like it? (O) = (3-2) What do you think of it? (O)

(4-1) What do you like it? (X), (4-2) How do you think of it? (X)

(5) How do you feel about it? (O)

(6) What do you feel about it? (X)

(7) How was the weather? (O)

(8) What was the weather like? (O)

 

우리말 어떻게 영어에서 what인가 how인가 헷갈리지만 가지를 명확히 알면 용처(用處) 분명해집니다.

 

첫째, what 보통 의문대명사이고(가끔 의문형용사로도 쓰이지만 지금 설명과는 무관합니다) how 의문부사입니다. 따라서 의문사를 제외한 문장 구조를 분석해서 목적어가 빠졌을 경우에는 what 쓰고, 부사 또는 형용사 보어가 빠졌을 경우에는 how 씁니다.

 

둘째, 동사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위의 문장에서 think 자동사인가 타동사인가? feel 자동사인가 타동사인가? 이게 정확하지 않으면 옳게 없습니다. think 자동사일 때도 있지만(‘생각/숙고하다 . Let’s think before we go. 문장에서 추가가 가능한 것은 seriously 같은 부사뿐입니다.), (1), (2)에서는 타동사로 쓰였습니다(이 때 뜻은 '어떤 의견을 가지다(have an opinion)'이지만 역시 우리말로는 '생각하다'라고도 새깁니다), think ‘I think that S+V’에서 흔히 있으며, 목적어는 우리말로 보통 ‘~라고 해석됩니다. 목적어가 빠졌으므로 (1) 틀리고, (2) 맞습니다.

 

(3-1), (4-1): I like it 문장은 주어+동사+ 목적어 완결되어 뒤에는 very much같은 부사밖에 나올 없으므로 (3-1) 맞고 (4-1) 틀리며,

(3-2), (4-2): ‘think A of B’(B에 대해 A라고 생각하다)에서 A(2)에서와 같이  think 목적어니까, (3-2) 맞고 (4-2) 틀립니다. (3-1) (3-2) 같은 뜻의 문장입니다.

 

(5), (6)에서 feel 자동사입니다(형용사 보어를 취할 있는 2형식 불완전자동사). 답은 I feel good/bad about it 같은 문장이 나올 있으므로 how (5) 맞고 (6) 틀립니다.

 

(8)에서는 전치사 like 목적어가 빠졌으므로 what 와야 되지만, (7)에서는 The weather was fine 같이 형용사 보어가 빠졌으므로 how 오는 겁니다.

 

방명록 toto님의 질문 중에 find 물론 완전타동사로서 발견하다 뜻이 있고 그럴 경우 How did you find it? 그걸 어떻게 발견했니?” 되어 방법(부사구)을 묻는 것이 되지만, find에는 ‘~이/가 ~라는 것을 경험하다/~가 ~하다는 것을 알게 되다라는 5형식 불완전타동사의 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find something interesting/difficult/frightening/relaxing 또는 find somebody attractive/irritating 같은 용법이지요. 문맥으로 보아 후자임이 분명하고, 형용사 목적격보어가 오는 자리니까 How did you find the movie? (= What did you think of the movie?)같은 문장이 가능한 겁니다.

 

(추기: 이렇게 문법을 이해하는 것만으로 끝났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위의 문장들을 외워서 입에 익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이 없으면 까먹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니까요. 실제 말을 하고 글을 쓸 때 이 내용들을 미리 다 떠올려가며 하는 사람은 없겠지요. 하지만 문법 교육과 언어 사용 연습을 결합하면, 나중에 이 문장들을 떠올릴 때 문법 사항도 저절로 기억이 나고, 또 다른 문장으로의 응용이 가능합니다. 반면 몇 가지 문장을 외우기만 하면 문법 교육 없이도 저절로 영어가 다 되리라고 생각하는 것도 큰 오산이지요. 언어 사용을 염두에 둔 문법 교육, 문법과 언어 사용이 서로 도움이 되는 교육만이 제대로 영어를 배우는 길임을 믿어야 합니다. 자꾸 문법 사항 설명을 하다 보니 노파심이 생겨 사족같지만 첨언합니다.)

 

* 제 서재에 오시는 분은 누구라도 질문을 환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