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인에게 공격적이거나 허세와 거짓말이 심한 사람을 두고 하는 표현 중에

'저 사람은 자존심은 센데 자존감은 낮다'

라는 말이 있다.

언뜻 들으면 다 비슷한 단어 같은데, 자존심은 뭐고 자존감은 뭐길래 이런 말이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생겨먹은 경로로 자존심은 하늘을 지르는데 자존감은 바닥인 사람이 나오게 되는걸까?

쇼핑을 갔는데 함께 간 친구가 본인이 소화 못하는 옷을 집어들고 너무 예쁘지 않냐며 묻는다.

정직하게 '그 옷은 너랑 잘 안어울리는 것 같아 다른 옷을 찾자'며 이야기 해 주는 사람도 있겠지만

속마음과 다르게 잘 어울린다 예쁘다며 칭찬하는 사람들이 있다.

왜 진실이 아닌 거짓으로 이야기 하는 걸까?

뇌 속에 내가 그린 내적모형이 직면한 외부 환경과 달라 예측 오류가 발생할 때 뇌는 이 차이를 바로 잡으려 한다.

내가 갖고 있던 내적 모형을 수정하거나, 혹은 모형을 수정하는 대신 사회적 환경을 폭력적인 방법으로 수정하려 들 수도 있다.

나의 내적 모형이 나를 둘러싼 물리적 환경에 잘 맞춰져 있으면 자기감을 느끼는 것처럼,

내적 모형이 물리적 환경 대신 사회적 환경에 잘 맞춰져 있으면 자존감을 느낀다.

이미 뇌 속에 형성된 내적 모형이 예측 오류를 크게 내지 않거나 충분히 수정될 수 있을만큼 비교적 안정적이라면, 이는 곧 높은 자존감 혹은 자존심이 세지 않은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사회적 환경을 신경쓰는 이유는 아마도 그렇게 하는 것이 생존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나와 타인의 기대가 일치하면 추가 에너지 사용이 불필요한 상황이지만, 둘 간의 기대가 불일치하면 복내측 전전두피질이 미처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추가 에너지 사용이 불가피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게 우리 뇌는 불안감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그리고 이런 불안감을 회피하도록 설계된 우리 뇌는 자연스럽게 타인의 의견을 따라가는 동조 행동을 보인다.

동조 행동은 불필요한 신체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생존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뇌의 전략적 대응 방법이다.

내가 그간 주로 읽었던 뇌과학 분야의 책들은 대부분 외국인 저자의 번역서였는데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의 경우 한국인 저자가 쓴 책이어서 번역서 특유의 어색한 문맥도 없으며

한국 드라마, 소설, 뉴스 등 한국인 독자가 바로 공감할 수 있는 친숙한 사례를 가져와 보여준다.

뇌과학을 통해 분석한 자존감 회복 시스템에 대해 알고 싶다면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뇌는어떻게자존감을설계하는가 #김학진 #갈매나무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뇌과학 #책 #독서 #자존감

               -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