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으로 읽는 로마사 - 1,000년을 하루 만에 독파하는 최소한의 로마 지식
윤덕노 지음 / 더난출판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의 식문화하면 떠오르는 모습이 있다. 값비싼 장식으로 꾸며진 곳에서 비스듬히 나른한 모습으로 반쯤 누워 음식을 씹어서 맛만 보고 뱉어버리는 장면이다. 어릴적 읽었던 '먼나라 이웃나라' 만화에서 봤던 내용이 꽤 인상적이라 오래도록 기억에 남은 것 같다. 역사상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어마무시하게 번영했던 로마인지라 사치와 향락을 즐기다 못해 넘쳐나는 산해진미를 즐기고는 싶고, 있는대로 다 먹기엔 배가 부르니까 뱉어버리거나 토해내고 계속해서 먹는다는 것이다. 그것이 로마의 식문화 전부였을까?

 

모든 음식은 로마로 통한다

2000년 전 로마인의 식탁에 올랐던 거의 모든 식재료들은 외국에서 들여왔다. 로마의 주식인 빵부터 물처럼 마셨던 와인, 가룸(생선 젓갈)과 황제와 상류층 귀족들이 사랑했던 굴까지.

이는 로마 제국의 팽창과 관계 있다. 여러번의 정복 전쟁을 하면서 속주에서 식료품을 빼앗았고, 그 식료품을 로마까지 실어나르기 위해 자연스럽게 도로망이 발달하게 되었다. 도로가 건설되면서 많은 물류가 이동하게 되고, 경제가 활성화 되었다. 물류지를 중심으로 숙박업과 창고업도 흥행했다.

오늘날 현대인은 하루 세 끼 음식을 먹고 최근들어 그것이 많다해서 간헐적 단식이 유행하고 있는데 의외로 인류사에서 하루 세 끼를 꼬박 챙겨먹은 장면은 그리 발견되지 않는다.

로마인들은 현대인들과 거의 비슷한 패턴으로 옌타쿨룸(아침), 프란디움(점심), 케나(저녁), 메렌다(야식/군것질), 콘비비움(파티)를 즐겼는데 이는 로마가 얼마나 풍요로운 사회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로마인이 비스듬히 누워 식사한 이유

앞서 말했듯 로마인들의 식사 장면하면 흔히 떠오르는 것이 비스듬하게 누운 듯 앉은 자세이다. 실제 로마시대 연회나 식사 장면을 묘사한 벽화들을 보면 그런 모습들이 관찰되는데, 이 자세는 그리스인들에게 배워왔을 가능성이 높다.

현대인들이 먹는 것 처럼 수저나 포크 나이프를 가지고 식사한다면 이러한 자세는 몹시 불편할지 모르겠지만, 당시 로마인들은 손으로 음식을 집어먹었으므로 이러한 자세는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였다. 아마 우리가 쇼파에 반쯤 드러누워서 과자나 팝콘 같은 간식을 집어먹으면 더 맛있게 느껴지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모든 사람이 이렇게 반쯤 눕듯이 식사한 것은 아니며, 여성과 아이, 하인과 노예는 의자에 앉아서 식사를 했다. 한쪽 팔로 상체를 받치고 비스듬히 누워 다른 손으로 음식을 집어먹는 동작은 '자격이 있는 성인이 격식을 갖춘 식사에 참석해 요리를 먹을 때 취하는 자세'였다. 이것이 로마 제국이 팽창함에 따라 점차 여성들도 식사에 참여해 함께 누워있는 벽화들이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실제 1세기 초 기록과 유적들을 살펴보면 여성들이 사업에 참여한 흔적을 엿볼 수 있는데 아마 케나(저녁식사)를 하면서 남녀가 함께 술과 유흥을 즐기며 인맥을 넓히고 비지니스를 논의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전성기 로마 제국에서는 아이들도 상류사회의 사교를 가르치기 위한 조기교육의 일환으로 저녁 만찬에 참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렇듯 로마의 저녁 만찬 케나를 통해 로마 사회의 구조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미 부른 배를 비우고 음식을 더 먹기 위해 토하거나 음식을 삼키지 않고 맛만 보고 뱉었다는 소문은 진실일까. 실제로 먹기위해 토했다는 기록이 서기 42년 세네카가 제 4대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분노를 사서 코르시카로 추방됐을 때 어머니 헬비아에게 쓴 <위로문>이라는 편지에 나타나 있다. "그들은 먹기 위해 토했고, 토하면서 먹었습니다." 하지만 몇 몇 기록으로 전체를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그에 반해 로마 상류층이 미식을 즐기기 위해 아예 연회장에 별도로 '토하는 방(보미토리움)'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와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미토리움'은 라틴어로 토한다는 뜻의 '보미투스'에서 비롯된 말로 보는데, 마치 출입구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토하듯 쏟아져 나오는 모습에서 생겨난 것으로 극장이나 콜로세움 같은 경기장에서 관중들이 일시에 드나들 수 있는 통로(입구)를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굴 사랑으로 인한 로마의 기술 혁신

로마의 황제들이 그렇게 사랑했다는 굴.

유통기술과 냉장보관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오늘날에도 생굴을 택배로 배송받을때는 상하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는 음식인데 몇천년전의 로마 사람들은 도대체 어떻게 굴을 운반해 즐길 수 있었는지 상상해보면 경이롭다.

영국에서 로마까지 최고급의 신선한 굴을 실어다 날랐다고 하는데 그 거리는 도보 기준으로 최단 직선거리가 1,730킬로미터다. 로마시대에 마차로 쉬지않고 달릴 경우 50여 일이 걸리는 거리이다. 자연히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상류층 귀족들이나 황제들이 즐길 수 있는 음식이 될 수 밖에 없는데 귀한만큼 그 가치 또한 높다보니 잇속이 밝은 이들에겐 군침도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보였을 것이다.

알프스산맥에서 실어온 얼음과 눈으로 굴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저장기술이 발달하고, 굴 양식을 위한 운하 건설, 건축 기술의 발달과 겨울철 굴을 위한 난방 기술이 발달했다. 이 난방기술은 엉뚱하게도 로마의 목욕 문화 발달로 이어지게 된다. 굴 하나로 다방면의 기술 혁신이 일어난 것이다.

이 밖에도 소금 운송, 와인 산업, 로마인의 의식주를 책임지던 올리브 등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로 가득한 이 책은 음식들을 통해 로마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로마가 궁금했다면 한 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

#윤덕노 #음식으로읽는로마사 #더난출판사 #인문교양 #역사 #로마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책 #서평 #독후감 #교양역사 #로마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