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코맥 매카시의 원작의 배경이 한겨울이라면, 이 영화는 초가을에서 초겨울처럼 보인다. 오한이 들정도로 차갑고 눅눅한 아우라를 흠씬 풍기는 책에 비해 영화는 다소 한가롭게보인다. 고유명사를 의도적으로 지우며, 인류문화의 백지화를 동경했던 것과는 달리 영화는 실체를 빈곤하게 드러내며 상상력을 앗아간다. 플롯과 미장센의 우유부단함이 여실하여 이야기가 깊이가 없어보이는 와중에 비고 모텐슨 홀로 펼친 분투어린 연기는 영화의 불완성도를 오히려 강조하는 꼴이다.
 

엄마인 샤를리즈 테론을 전형적인 요부로 그림으로써 원작이 숨긴 의도를 천박하게 드러내기까지 한다. 원작의 영향은 일찌감치 예측되었던 바, 테러리스트 집단에서 유색인종을 빼고, 무기력한 도둑으로 흑인을 캐스팅한 것에 실소를 금치 못한다. 

 

헐리웃의 영향을 더불어 생각할 때, 내가 갖던 의문이 해소되었다. 유색인종은 '지구 종말'이라는 자극적인 주제에 호기심을 갖을지언정 주체는 될 수 없다는 점 말이다. 코믹 매카시는 자신의 작품의 진정성을 익히 알고 있으리라 믿는다. 그러므로 제 3세계의 관객들이 그들(헐리웃 주류)의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며 유혹적인 단어(전세계, 인류, 지구 멸망, 마지막 사랑 기타 등등)들에 지나치게 경도되지 않았으면 한다. 그들의 관심과 불안은 지구의 멸망따위에 있는게 아니라 패권의 향방에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오바마 집권내내 백인아버지의 활약을 담은 블록버스터 작품들이 내내 활개치게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로운 매체에 대한 기성세대의 불안은 새로운게 아니다. 늘 그렇듯이 보수적인 기성세대는 '새로운 것'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으며, 불안을 증폭시켜 대중의 여론을 환기시켜, 결국 통제를 정당화시키는데 몰두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공포 영화들 대부분이 이렇듯 기성세대의 불안을 담고 있다. 여기에 맞춤하게 범죄자들은 젊은 청소년이다.

 

이 영화도 이런 심리에 기대 편의적으로 만들어졌지만, 그렇다고 몰염치하지는 않다.

 

젊은이가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다. 아버지의 자살을 생중계하고 재탕으로 우려먹는 황색저널리즘 매체에 대한 복수라는 것.

 

복수하는 과정에서 인터넷이 교묘하게 이용되면서, 인터넷을 즐기는 네티즌들이 본의 아니게 공범자가 된다.

 

사실 제 8의 예술이라 불리며 홀대와 사랑을 동시에 받아 온 영화가 새로운 강력한 매체의 도전 -즉, 인터넷- 을 받아 그것의 장점보다 단점을 집중 조명하며 불안을 증폭시키는데 앞장서는건 아이러니다.

 

그 인기만큼이나 흑색선전에 시달리는게 새로운 매체의 숙명인 듯 싶다.

 

그레고리 호블릿은 저예산 영화인 '쏘우'의 아이디어를 인용해, 범인의 동기가 확실하고, 권선징악의 교훈을 주는 헐리웃 영화로 포장했는데, 이것은 보수적이고 권위적인 기성세대가 젊은 세대를 훈육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