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선언 - 문헌학자 김시덕의 서울 걷기, 2002~2018 서울 선언 1
김시덕 지음 / 열린책들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김시덕 #서울선언 #장단편의책리뷰 #리뷰
나는 서울에 산다. 저자의 표현에 의하면 ‘대서울’ 어드메에 살고 있다.
어렸을 때부터 살던 동네가 뉴타운 재개발 지역이 되고, 20여년 가까이 내가 살고 있는 동네의 모습이 변해가는 것을 보고 있다. 늘 그런 변화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허둥지둥 하는 마음 밖에는 없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저는 이런 변화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서울이라는 도시가 살아있다는 증거로서 받아들입니다. 다만 40여 년 간 저라는 사람을 만들어 준 공간들이 없어지는 데 대한 안타까움이 사라지지 않을 뿐입니다. 제 마음 속의 그 안타까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지금 서울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기, 이것이 서울이란 도시가 우리에게 주는 깨달음의 기회일 터입니다.”(p.401) 저자가 변하는 서울을 대하는 태도를 알 수 있다. 그는 그 변하는 서울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기 위해 서울을 쉼 없이 걷는다.
종종 오고가다 “사대문 안이 진짜 서울이고, 이 지역은 원래 서울이 아니었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을 만나곤 했다. 그러면 속에서 ‘그래서 어쩌란 말인지?’라는 부아 같은 게 올라오곤 했다. 아직도 조선시대에 사시는 분들이다. 이 책에서 던지고 있는 첫 질문이 그것이어서 반가웠다. 사대문 안만 서울인가? 그렇다면 그 이후에 확장된 서울은 어떠한가? 그리고 조선시대 이전의 서울의 공간은 어떻게 볼 것인가? 저자는 상대적으로 사료가 많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서울에 대한 기억이 구성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자료가 적은 조선 이전의 서울의 모습이나, 1936년의 행정 구역 개정으로 편입 된 경성부 주변의 경기도 일부 지역, 1963년 행정 구역 개편에 의해 서울 주변의 경기도 일부 지역이 대거 서울특별시에 편입 된 것 등 확대되어온 서울의 모습을 반영하는 ‘서울 이야기’는 아직 많지 않다.
어쩌면 저자가 확장된 의미의 ‘대서울’을 이렇게 바쁘게 돌아다니며 기록하고 있는 것은 그런 생각 때문이 아닐까. 이 변화의 과정을 기록해야 한다는 생각. 그것에 의해 서울이 규정되고, 서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답을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 그리고 더 나아가 서울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의미에 대해서 질문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 같은 것들. 사대문 안의 서울이 포괄할 수 없는 ‘대서울’의 이야기들 속에는 여러 가지 공간-농업도시, 공업도시로서의 서울-과 시간-개발 이전과 개발 이후- 그리고 여러 가지 좋은 기억과 나쁜 기억들-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등-이 공존하지만 사람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서울로만 서울의 기억을 만들어 가려고 한다. 그래서 사대문 안에서 조선시대라는 과거의 기억과 개발이 된 이후의 깨끗한 서울의 모습 정도로 서울의 이미지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가 이야기 하는 <서울선언>은 고정되어 있는 의미로서의 선언이라기 보다는 변화하고,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확장하는 서울에 대한 이야기이자, 공화국 수도의 시민들이 살아가고 있는 ‘서울’에 대한 선언이다. 서울에 대한 책은(아니, 그 어떤 도시라도) 1년에 한 번씩 새로 나온다 해도 부족하지 않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시간과 공간의 의미에서 뿐 아니라 서울을 바라보는 시각의 다양함을 반영하는 새로운 텍스트들, 서울 답사기, 서울에 대한 이야기들은 더 많아질 필요가 있다. 그러려면 나부터 뭐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