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터 허블청소년 1
이희영 지음 / 허블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면 세상을 움직이는 건 첨단 과학기술도, 의학의 발전도 아닐 것이다. 작은 희생조차 막아서려는 누군가의 연약한 두 팔인지도.

 

 

이 이야기는 전설로부터 시작한다.

수신(獸神)으로 불리는 오방새는 꼬리에서 빛이 나는 새로 동굴에 산다.

동굴에 사는 이 수신은 인간의 발길을 원치 않았다. 그 동굴에 침입한 인간은 벌을 받았다.

원인 모를 병으로 죽어가는 인간들. 그래서 인간들은 그 동굴을 막아버리기로 결정했다.

어린아이를 수신에게 바치고 그들은 동굴을 막았다. 그렇게 오방새는 전설로 사라져 지구상에서 멸종되었다.

 

레인보우 버드는 오방새를 과학의 기술로 되살린 새의 이름이다.

관광용으로 하나의 이벤트로 멸종된 동물들을 복원하는 게 유행이 되어버린 미래의 지구.

그 지구의 도로엔 자율주행차들이 달리고 그 지구의 하늘엔 드론이 새들처럼 날아다닌다.

 

호박에서 공룡 DNA를 뽑아서 멸종된 공룡을 부활시킨 쥬라기 공원을 보며 저런 기술은 발전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적응하지 못해 멸종된 생물을 다시 불러온다는 건 단순한 유희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테스터>에서는 신비의 오방새를 복원시켰다.

마치 그것을 벌하듯이 그 복원을 추진한 사람에게 수신은 벌을 내린다.

손에 상처를 입혔을 뿐이었는데 사소한 상처에 극강의 바이러스를 주입시켰다.

 

그렇게 부모의 죄로 태어난 아이 마오는 RB 바이러스의 희생자가 되었다.

마술 같은 아이라는 이름의 마오는 눈동자만 빼고 모두 하얗다.

태양 아래 설 수 없는 아이.

조금만 흥분해도 터지는 기침 앞에서 숨 고르는 아이.

낮에는 집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하는 아이.

메이드 봇과 둘이서만 살아가는 아이.

스스로를 흡혈귀라 부르는 아이.

알비노 마오.

 

마오의 할아버지는 달에 호텔을 가지고 있을 정도의 재력을 가진 사람이다.

마오를 위해 바이러스를 무력화 시킬 신약을 연구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RB 바이러스의 출현을 비밀로 하고, 마오를 살리기 위해 치료제를 찾기에 힘쓴다.

 

사춘기에 접어든 마오는 점점 혼자 갇혀 지내는 것을 힘들어한다.

자신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는 게 두렵기도 하지만 빨리 치료제가 완성되어 보통 사람처럼 살기를 원할 뿐이다.

그러다 RB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한 명 더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어느 날 마오를 찾아온 하라.

두 사람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지만 증상이 달랐다.

보통 사람과 다를 바 없는 하라는 색을 구별하지 못한다.

 

온몸의 색이 빠져나간 알비노 마오.

온 세상의 색을 알아보지 못하는 색맹 하라.

이 두 사람의 치료제는 과연 완성될까?

 

낡은 메이드봇만이 폐기처분의 대상일까? AI와 로봇들에 의해 쓸모가 사라지고 있는 쪽은 오히려 인간이었다. 수리도 업데이트도 쉽지 않은 인간의 끝이 어딜지는 알 수 없었다.

 

 

이희영 작가의 글은 처음이다.

독특한 소재의 이야기 안에 우리가 그리는 미래의 참상이 담겼다.

그래서 읽는 내내 두려워졌다. 저런 세상이 이미 시작되었다는 걸 알고 있으니까..

 

인간의 장기와 피부를 대체하기 위해 인공장기와 인공피부를 가진 동물을 만들어 내고

멸종된 동물을 자신들의 구미에 맞는 것들만 골라 복원시키고

달에 정착하기 위한 이민자들을 모집하는 세상.

 

그러나 그 새로운 것들을 위해 필요한 게 바로 <테스터>다.

인공장기와 인공피부의 부작용을 위해, 달에서도 인간이 잘 살아갈 수 있는지를 위해 필요한 <테스터>

하라와 마오는 누구를 위한 <테스터>일까?

 

 




과학기술의 발전과 진화가 불러올 부작용을 걱정하면서도, 그 편리함에 취해 사는 게 인간이었다.

 

 

<테스터>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미래가 오기 전에 미리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우리가 살아갈 미래에 우리가 얻게 되는 과학기술의 진화가 정말 인간에서 유용하기만 한 걸까?

좀 더 가진자를 위해, 좀 더 배운자를 위해, 좀 더 특별함을 지닌 자들을 위해 그렇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이 <테스터>로 희생되는 것은 옳은 걸까?

 

 

"회장님 말이 맞았어. 인간은 언제든 자신이 서 있는 위치에서만 세상을 보곤 한다고. 그 시점에서 보이는 것만이 정의라 믿는다던데, 그 말이 뭔지 이제야 알겠네. 어쩔 수 없었다? 되게 편리한 말이잖아."

 

누군가의 희생으로 세상이 더 좋아진다면, 당연히 그럴 가치가 있다고 믿는 게 인간이다. 그 누군가가 자신이 아니어야 한다는 절대적 조건하에서 말이다.

 

 

 

왜 이 소설이 청소년 소설일까? 의아했다.

그러다 깨달았다. 청소년 소설이어야 할 이유를..

미래를 사는 건 바로 그 아이들이니까. 그들이 살아야 하는 세상의 문제점을 미리 알고,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이니까.

그래서 이 이야기의 마지막에 대해서 감히 옳고 그름을 말할 수 없을 거 같다.

내가 그라면 어떤 결론으로 향했을까?

 

<테스터>는 수많은 이야기에서 다뤘던 문제들에 대해 더 고심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테스터>가 그리는 세상이 지금 현실에서도 가능한 이야기니까.

어딘가에서 수많은 <테스터>들이 자신이 <테스터>인 줄 모르고 살아갈 테니 말이다..

 

만약

당신이 누군가의 <테스터>라면?

어쩜 우리는 서로의 <테스터>일지 모른다...

 

표지의 두 아이의 모습을 처음 보았을 때는 환상적인 판타지로 보였다.

이제 두 아이의 모습은 '슬픔'으로 보인다.

지켜주고 싶었지만 지켜주지 못했던 서로의 모습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