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군대에 있을 때 누가 주제 사라마구책을 5권이나 사왔었다.
빌려 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전역날이 다가와서 아쉽게 열어보지 못하고 집에 와야했지만.
언젠가 봐야겠다고 생각하다가 선물받은 덕에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인간 본성에 관한 고찰..정도로들 해석하는 경향이 있긴 한데,
나는 달리 새로운 해석이라거나 하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대부분의 사람이 느꼈겠지만, 어쩌면 당연하기까지 한 진실이기 때문이다.
그 표현방식이 달랐을 뿐, 이 책에는 전혀 새로운 사실이 없다.
진실이 아니라면, 대다수의 사람이 이 책의 끝까지 가기 전에
'말도 안돼'라면서 집어던져야 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남이 보지 않는다'라는 사실만으로 모든 '껄쩍지근함'을 버린다.
심지어 화장실이라는, 모두가 지극히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공간조차
남의 시선이 없으면 무의미하기 그지없다.
인간 사회는 '남의 시선'을 기반으로 한다.
남이 보지 않는 공간에서는 아무런 도덕과 법률이 의미가 없고
남이 보지 않는다면 그 어떤 극악한 범죄도 쉽게 저지를 수 있다.
실제로, 우리 모두 보고 있지만 눈먼 것이나 다름없을지도 모른다.
이 사회의 모든 '악'은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곳에서 벌어지고,
'남들이 모르도록' 권력은 악을 저지른다.
우리가 '무의미한 공부'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알아도 바꿀수 없고, 안다고 해서 추악한 권력구조를 뒤엎을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눈을 감아버리면 악은 더 쉽게 생겨난다.
가끔 그 사실을 잊는 권력자에게
우리는 그가 하는 일을 우리가 알고 있다는 것을,
그의 권력행사가 '눈뜬 자들의 도시'에서 행해지는 것임을 일깨워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