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곰선생님 > [신경숙 낭독회]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신경숙을 처음 만난 것은 
아주 오래 전이었다. 

그것도 글이 아닌,
그저 이름으로.
  

 

 

  

 

 


세상의 모든 짐을 지운 채,
힘들게 간병하러 가던 '어머니'의 오른손. 

그 손에 들려 있던 유일한 문화적 산물 속에서,
신경숙의 이름을 찾을 수 있었다. 

신경숙의 이름 보다는,
책 속에 담긴 어머니의 메모에
더 눈이 가던 나이의 일이었다. 
  

 

 

 


  


그것도 인연이었을까? 

스치듯한 인연은
결국 만남을 가져왔다. 

애독자는 아닐지라도,
최소한 독자라는 핑계와
사실은 내면 속 그 사람에 대한 호기심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저마다,
저마다 신경숙과 얽힌 이야기들로 분주했다. 

적어도,
어머니가 병간호 길에 산 책으로 처음 뵈었다와 같은 소소함은
넘어 서는 듯한 눈빛들로. 

 

 

 

 



 
낭독회의 사회자는 문학평론가 신형철님이었다. 

그는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를 두고,
이런 글을 남겼다. 

'네 명의 청춘이 유리병에 넣어 띄운 편지가 오늘날 청춘들의 마음에 온전히 가 닳기를.
 그들의 아픈 시간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아픔들을 잊지 않으면서, 
 마침내 아픔이 없는 시간 쪽으로 걸어가기 위해서.'

미치도록 공감하는 평이다.  


뒤에 어머니의 생각을 조금 밝히겠지만, 
아마도 신경숙씨의 가장 큰 매력은 온전히 가 닿는 것 아닐까.  

 

 

 

 



 
신경숙씨가 보였고,
그 손에 들린 책의 간지들이 보였다. 

새삼 소통을 위하여,
그는 몇 번의 곱씹음이 있었을지 궁금했다.  

 

 

 

 




낭독은 꽤 오래도록 이어졌다. 

작가가 직접 자신의 글을 낭독하는 것은
언제나 어떤 모양으로나 감동이다.  

 

 

 

 


 


그리고 이야기들도 오갔다.

작가와 작품과 독자와의 관계가 무시된
약간은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었던 그저그런 질문을 포함한 이야기들 속에서 (지극히 주관),

새삼 주인공이 대부분 죽는다던 신형철씨에 대한
일침이 선득하게 졸음을 깨웠다. 

'딱 죽었다고 서술한 적은 없는데요.' 라는 식으로. 

처음으로,
어머니가 간병을 하기 위해 산
'오래전 집을 떠날 때'를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에서야 하는 말이지만, 

우리 어머니는 신경숙을 좋아하지 않는다.
아니,
싫어한다.

아마도, 생각해보면. 

신경숙을 싫어하기 보다는,

슬픔과 같은 것들이 아주 '온전'하게. 그리고 '현실'적으로 와닿게만 하는
그 절절함을 싫어해야 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글을 읽고 있다. 

마치 이별 상황의 연인들이
이별의 노래를 미치도록 반복하여 듣는 모습처럼. 

그렇다.
정확히 말하면, 애증이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로 하여금 슬픔을 딛고.

어느새 다시금 그의 소설을 빼어 들게 하는.

가장 큰 매력이라 생각해 보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독자로서 그를 사랑해 마지 않을 수 없는 것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더디오는 봄도 모두 담지 못해 쩔쩔매고 있는데,

놀랍게도 김용택 선생님을 담을 기회가 생겼습니다.

 

손에 들고 있는 책에도, 길가에도,

심지어 내 마음에 마저도 온통 꽃 일색입니다.

그것도 아주 예쁘고 고운 놈들로요.

 

 

 

 

 

 

 

 

으리으리한 자개 장식의 문패가 아닙니다.

저 건너집 농부네와 아주 똑같은 꽤나 촌스러운 느낌이 나는 것이,

제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김용택 선생님 ㅡ

 

그 분의 댁이 확실해 보입니다.    

 

 

 

 

 

 



 

뒤늦게나마 몸이 좋지 않으셨다 들었습니다.

그런데도, 동구까지 마중와 주시다니요.  

 

평생의 게으름으로 김용택 선생님의 시마저 모르는 것 투성인데 어째야 하나.

뚤레뚤레 따라와서 염치 불구하고 빈손으로 인사만 드려도 되는 것일까 아니면 어째야 하나.

 

존경하는 선생님이자 존경하는 시인 앞에서 들 수 있는 여러 걱정들이

누그러듭니다.

 

지난 여름 외갓댁을 방문했을 때,

그 때의 표정이 절로 지어집니다.

 

 

 

 

 

 



 

관란헌.

 

선생님의 지인분들께서 왕희지체로 집자하여 선물하셨다는데,

보기가 참 좋습니다.

 

선생님,

지인분들께 술 더 사드려도 될 듯합니다.

 

 

 

 

 

 



 

관란헌에서,

관란합니다.

 

혹시, 선생님께 이야기가 들어가면

꿀밤 한 대 맞을 지 모르겠으나,

 

이런 곳에서는 절로 시가 써지겠습니다.

 

 

 

 

 

 



 

사모님께서 정성스레 음식을 내어주십니다.

마음이 고우셔서,

그리 고우신가 봅니다.

 

귀하고 귀한 지리산의 죽순으로 만든 죽순전은

참으로 기가 막혔는데, 상상으로나마 맛보시길 바랍니다.

 

풍성한 음식들 주변으로 옹기종기들 모여 앉아서,

참으로 재미있게 선생님 말씀을 들었습니다.

 

책은 집에 가서 읽고,


오늘은 좀 놀아야겠습니다.

 

 

 

 

 

 



 

선생님댁을 나와 마을을 거닐다 보니,

어느새 덕치초등학교입니다.

 

어디 정말 강이 흐르고 새소리가 들리나,

벼르고 벼르던 곳이 덕치초등학교입니다.

 

사실은 많이 부러운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조용히 눈을 감으면,

지렁이 소리마저 들릴 듯합니다.

 

 

 

 

 

 



 

오늘은 정말

훌륭한 시인을 뵈었고,

훌륭한 선생님을 뵈었습니다.

 

그러나 유독 오늘이 기쁜 까닭은

'김용택'을 뵈었기 때문입니다.  

 

 

 

 

 

 



 

피자마자 질 궁리부터 하는

벚들의 시간처럼,

참으로 짧고 아쉬운 만남이었습니다.

 

지기 때문에 다시 필 때까지

마음으로나마 몇 번이나 다시 틔우고 지우고 하는 것처럼,

 

마음으로나마 몇 번이나 선생님을 다시 만나고 헤어지고 해봅니다.

 

선생님 다음에 다시 뵐 때까지,

안녕히 안녕히 계십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