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어타운 ㅣ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베어타운은 시골이다. 베어타운에 대한 가장 인상적인 묘사는 물고기를 잡아올릴 수 있는 공간 옆에서 초밥 정도는 사먹고 싶은데 그것마저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도심에 갖추어진 편리한 생활을 가능하게 해주는 상점들과 다양한 서비스들이 모두 제공되지 않는 공간에서 미라가 살아가는 이유는 사랑하는 남편 페테르와 함께하기 위해서다. 이 한가롭고 고즈넉한 베어타운의 고요함이 흐트러지는 순간은 오직 하키 경기가 펼쳐지는 빙판 위에서이다.
마을 사람들에게 하키는 영혼의 활력소이자 종교이며 계급이다. 하키를 잘하는 선수는 사람들의 인정과 격려를 받지만 가난하거나 하키 실력이 뛰어나지 못한 선수는 소외된다. 마치 약육강식의 이념이 구체화 된 야생처럼 아무도 그 만연한 폭력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강자이기 때문에 강자의 권력을 인정받고, 약자이기 때문에 당하는 것을 이해하면서 언젠가 강자가 되는 순간을 꿈꾼다. 어린 아맛은 마야를 좋아하면서도 뛰어난 하키 선수인 케빈에게 끌리는 마야를 보고, 그 어떤 말도 아무 행동도 하지 못한 채 경기에서의 활약을 다짐한다.
이처럼 하키의 제국에서 힘의 권력 관계는 노골적으로 드러나며 발생하는 폭력들은 사람들에게 의식되지 않는 채로, 혹은 의식하지 않을 것을 강요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각 등장인물들은 피해자이거나 가해자이며 혹은 그 둘 다였다. 각 등장인물들이 힘의 권력관계에 긁혀 벌어진 영혼의 상처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내적으로 치밀하게 묘사한 문장들을 읽고 있으면 쓸쓸한 외로움이 내려앉았다.
자식의 뺨에 묻은 눈물을 닦아주며 "그러게 사는 게 어렵다잖니"라고 속삭였던 어머니. 아이를 낳으면 너무 작은 담요가 된 듯한 기분이 든다. 누구 하나 빠뜨리지 않고 덮어주려고 아무리 애를 써도 추워서 바들바들 떠는 아이가 생긴다. (p. 155)
아이들이 만들어내는 위태로움과 불완전함 속에서 무수히 많은 감정들이 솟아났다. 하키와 맞물려 벌어지는 힘과 감정의 역학은 뭉클하고 애잔했다. 단단한 자아로 만들어지기 위해 성장통은 지독하고 아팠을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한 번쯤 겪어내는 과정으로서 자신의 아픔과 마주하였을 때 비로소 깨닫는 사실들이 있다. 함께라는 공동체로 구성되기 위해 반드시 지켜내야 할 가치와 버려야 할 폐단을 판단해가며 서로를 만들어가는 마음 따뜻한 이야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