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 웨잇...
제이슨 지음 / 새만화책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욘의 외침, “Hey, Wait..” 그러나 이미 비욘은 몸을 날렸고 그 다음 페이지 6개의 칠흑

같은 프레임이 욘의 경악, 고통, 절망, 그리고 어른으로 훌쩍 커버리는 한 어린 소년의

변화를 함축하고 있는 듯 느껴집니다. 이 책을 다 본 지금에서 그런 느낌의 의미심장함

은 더 크게 다가옵니다.

제이슨이란 가명을 쓰는 노르웨이 만화가 욘 아네 새테뢰이(John Arne SæterØy)가 그린

[헤이 웨잇(Hey, Wait)]은 이처럼 한 페이지 당 6칸의 프레임 형식을 고수하면서 그 6칸

으로 때로는 6분을, 때로는 6시간을, 또 때로는 6년 이상의 시간과 공간과 장면을 매우

간결한 모노톤과 라인을 통하여 압축해서 그려내고 있습니다. 거의 대사가 없이 장면들

을 밀도 있게 눌러 담은 각 프레임들은 통상적인 경우, 그 함축성과 은유적 특성 때문에

독자의 자유 해석, 임의적인 상상을 유도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제이슨의 6칸 프레임은

오히려 그런 서투른 상상의 고삐를 용납하지 않습니다. 그 어떤 상징도 없으며 직설적

고 적나라한 현실의 삶과 일상의 소소함들을 소재로 하여 잘 짜여진 스토리텔링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어 마치 연극의 미장센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이야기는 비교적 단순합니다. 고만고만한 가정에서 태어난 욘과 비욘은, 꿈 많고 행복

던 평범한 아이들이었습니다. 충동적인 내기에서 비롯된 한 아이의 죽음과 그 죽음을

결국 자신이 죽을 때까지 끝까지 벗어버리지 못했던 남겨진 아이의 삶의 흐름이 담담히

그려지고 있는데, 여러 가지 즐겁고 활기 찬 사건들이 묘사되는 책 전반부를 지나, 친구

의 죽음이 곧 자기 유년 시절의 끝장이자 꿈이 없는 무미건조한 어른으로 변화되는

포인트가 되는 책의 후반부는 나사를 깎는 일이 자기 업이 되어버린(어린 시절 그토록

되기 싫어했던), 사는 일에 지친 한 어른의 남은 삶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의 책을 본 한 유명작가는 “조심하세요. 이 아름다운 이야기가 당신의 마음에 상처를

줄지도 모릅니다” 라고 했다는데, 아마도 어떤 상처와 추억과 상념들을 가진 ‘나’인가에

따라 이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인 그림들을 보는 각각의 놀라움과 전율과 그리고 슬픔이

존재할 것이라 생각해봅니다.

좀더 나아가서는, 이 만화책을 품평하는 것 자체가 별로 의미 없는 일이라 생각하고,

지 권해줄 수 있을 뿐, 더 이상의 제 감상을 적는 것은 좀 부질없을 것 같습니다.

그처럼 이 책은 이 책을 읽는 각 개인들에게 지극히 자신 만의 상념에 빠져들 수 있는

기회 그 자체라고도 생각이 되는군요. 만화라는 표현 매체에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일

지라도 가능하면 한번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나름대로 적지 않은 책과 또 널리 알려진

유명한 지식만화들을 두루 섭렵해왔다고 생각하는 데, 이 책은.. 글쎄요 좀 다르다고

밖에 말할 수 없겠군요. 일테면 지식만화를 먹기 좋게 잘 비벼낸 비빔밥이라 한다면,

이 만화책은 적절한 처방을 가진 한약과 같다고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약은

에 쓰지만 우리 몸의 안좋은 구석을 치료해주듯 이 책을 그렇게 소화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작품으로 만화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2002년 하비상(Harvey Award)을 수상했고

그 외에도 이그나츠상(Ignatz Award) 노미네이트, 2000년 노르웨이 만화상 수상 등,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