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세폴리스 1 - 나의 어린 시절 이야기
마르잔 사트라피 지음, 김대중 옮김 / 새만화책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Persepolis란 고대 이란(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수도를 말합니다.

 이란 왕조의 후손인 저자가 책의 제목을 이렇게 지은 것은, 자신의 조국이 고대에 누렸던

 번성을 오늘에 되살린다는.. 국민헌장식 사명감이라기 보다는, 서구의 안전한 나라에

 사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비록 너무나 위험하고 살기 어렵게 보이는 조국이지만,

 자기 나라에 대한 진한 애정은 여전히 공고함을 웅변하는 의미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것을 이 책을 덮으면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르잔 샤트라피는 저와 동 세대이기도 합니다. 저자가 이란, 자기 조국에서 이슬람혁명과

 이란/이라크  전쟁을 10살 언저리에서 겪고 있을 때, 저는 그와 비슷한 시기에

 광주민주항쟁을 겪었습니다. 다른 게 있다면 그녀에게 그 '사건'들은, 맞은 편 집에 살던

 자기 친구와 그 가족들이 미사일 폭격에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말그대로 목숨이 경각에

 달리는 체감현실이었던 반면, 제게 80년대는 초등학교 옆에 앉은 짝꿍의 연필이나 탐내는,

 중세 시대'였다는 점입니다. 그 동 시간대에 광주에선 미사일 폭격과 다름없는 짓들이

 저질러지고 있었는 데 말입니다. 

 마르잔은 아트슈피겔만의 [쥐]를 보고 영감을 얻어 이 책-만화-을 썼다고 합니다.

 만화라는 것은 워낙 시각적 메세지 전달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을 활자로

 읽으면 50% 이해할 것을 그림으로 보면 120% 확대해석할 위험이 있기도 하지만, 흑백의

 시종 담담한 그녀의 그림들은 어떤 곡해나 오판의 여지를 주지 않습니다.

 흔히 '미국VS중동'에 대한 거대 담론-국가 간의 문제, 정치 혹은 경제적 패권, 테러리즘,

 종교 갈등-의 차원에서만, 그것도 잘 포장된 수구언론과 서구제국주의에 복무하는

 가공된 방송정보로만 접하게 되는 중동의 현실에 대해, 그 전쟁의 포화와 계급 갈등의

 혼란 속에서 살아가야되는 한 인간의 일상과 목소리를 들여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가치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그간 이란,이라크를 비롯한 중동에 대한 정치적 이슈들은

 지나치게 서구 열강들의 주목을 받아왔지만(그 관심이 석유자원 때문이었다는 것은 이제

 다 알려진 사실이지만) 정작 그 안에 살고있는 사람들의 일상에 대해서는 또 지나치게

 경시되어온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광주항쟁에서 보아왔던 그 폭력과 공포,

 갈등의 2배 이상은 될 법한 사회적 혼란이 일상이 되어버린 그 곳에서, 여전히 사람들은

 즐거움과 노여움과 사랑과 우정을 나누고 있(었)다는 사실-지금도 현재형인-이,  중동을

 바라보는 이 책 이전의 제 편향된 시선을 바로잡아 줍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My blog=http://blog.naver.com/wellba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