펼쳐보자 펼쳐봐

내 얘기를 펼쳐보자..

언제고 이런 얘기를 쓰겠냐만.. 이게 왜 늘 나에게 alcohol이 들어갔을 때만 나오는건지..

그건 그렇고.. 이제 start!

 

난. 87년 8월 2일에 태어났다.

어디서 태어났는지에 대해는 잘 모르지만 어디서든지, 내가 이미 태어나고 여기까지 왔다는 것에 더 중요한 의의를 둔다. 나도 참 위험한 위기가 많았었는데, 그때마다 늘 어머니가 옆에 계셨지.. 아버지도 나와 함께 하고 싶으셨다고 믿고 있지만, 다만 아버지라는 커다란 어깨위엔 늘 붙어 있는 것이 있지.. 여튼 내가 그렇게 아프면서도, 그렇게 힘들었으면서도 여기까지 와서 이렇게 행복하게 살고 있다는 것에 대해 감사를 올린다. 내가 이렇게까지 있게 한 모든 이들에게. 김솔기라는 이름 아래 기억되고 기억시킬 수 있다는 것이 많다는 것에 대해 대단한 수고인 듯 하지만, 결국엔 다 내가 생활하면서, 살아가면서 늘어갔을 뿐이다. 결국은 내가 살아왔다는 것. 나를 살려왔다는 것. 이 모든 것에 감사를 해야지. 지금 21살.. 사실 만으로 따지자면 아직 멀었지.. 4개월.. 4개월이 인생에 어느 한 부분을 차지 하진 않지만, 지금 현재 now! 라는 시점에서는 상당히 큰 부분일게다..  하루가 24시간이고, 내가 깨어있는 시간은 그것도 안된다고 하면 이거참.. 아직도 시간을 내것으로 만들지 못한게다. 이렇게 느끼는거 보면.. 나는 맨날 술과 산다고.. 술이 없인 못 살겠다고.. 하지만 누가 그러지 않았나 남자는 술로 운다고..  맨날 운다는 것이 뭐가 자랑이냐고 반문할 수 있지 모르겠지만, 살면서 그런 감정을 real하게 느끼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만 알아줬으면 한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순간에도 아무것도 생각이 나지 않지만, 그래도 내가 이렇게 글을 이어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만큼은 생각하고 있다는 것일지도.. 그 무엇이, 과연 술과 관련이 있을지, 내 울음과 관련이 있을지는.. 좀 더 알아봐야겠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써야겠다. 결국은 술과 울음으로의 결론으로 났지만, 그게 내 일부분 뿐이라는 것을 안다면, 앞으로 무궁무진한 얘기가 나올 수 있다는 것. 그것으로 이 글을 이어갈 수 있으니 충분히 내가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혼자 밥먹지 마라
키이스 페라지 외 지음, 이종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난 맨처음에,

솔직한 마음에.. 정말 밥을 혼자 먹으면 안된다는 그런 책인 줄 알았다..

사실 3분만 생각해보면 혼자 먹으면 안된다는 이유만으로 책을 쓰긴 힘들텐데.. ㅋㅋ


읽어보면 읽어볼수록 왠지.. 나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사람간의 인맥, 연락의 중요성.

사실 이 책은 비즈니스하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하지만,

우리의 인생도 비즈니스라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인맥네트워크(사실 맥-脈이란 것에 네트워크의 개념이 들어있겠다만... 강조의 의미로 사용하겠다.)에 하나의 서버를 구축할 수 있을 만한 책이라 할 수 있다.

혼자 밥먹지 마라..(원제 Never eat alone)

원제를 보면 never다.. 그렇다 늘 혼자 먹지 않을 수는 없겠으나..

같이 먹을 수 있는 사람을 찾아보는 시도조차 안하고 혼자 밥먹는 짓은 정말 어리석은 짓이란 걸 이 책을 보면서 깨달았다. 사실 대학에 와서 혼자 밥먹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그걸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게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건 곧 자기 스스로의 isolation을 초래하는 일 밖에 더 되지 않는다. 우리의 삶은 늘 communication이 기반이 되는 일종의 네트워크이다. network..net=그물... 그렇다 그물과 같은 우리의 삶, 앎. 이 그물들 끝에 있는 그 누군가를 우리는 이용하고 써먹어야 한다. 여기서 이용하고 써먹어야한다고 해서 그들을 도구라 생각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하라는 것이다.

함께. together. 인터넷에서도 정보의 공유는 곧 자신의 네트워크에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전엔 정보를 감추고 아껴서 그걸 써먹는 것이 곧 자신의 능력이었다면, 이젠 그 정보를 얼마나 많이 공유하고 서로 알려주며 얼마나 얻을 수 있느냐가 자신의 능력이다. 그러기 위해선 인터넷 네트워크의 공유와 같이 인생에서 사람들과의 공유가 중요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사람들과의 공유. 그것이 무엇이 되든(감정, 물건, 심지어 돈까지) 공유라는 것은 사람들간에 더욱 유대감을 느껴주게 하며, 그것이 곧 당신의 능력이 되고 당신의 성공이 된다는 점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르소나 2007-04-02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책 제목봐라 아놔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