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탄생 - 이 시대 최고의 지성이 전하는 ‘안다는 것’의 세계
사이먼 윈체스터 지음, 신동숙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은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디로 가야 하는가.


읽는데 꼬박 일주일 걸렸다. 그런데 아주 즐겁게 읽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지식을 추구해 왔고 그것을 얼마나 즐기는지에 대해서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의 원제는 'Knowing What We Know', 즉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알기'다. '안다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아는 것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형이상학적인 썰만 풀었다면 아마 지루한 책이었을 텐데. 이 책은 역사적, 지리적으로 다양한 인물과 사건을 예로 들어 지식의 기원에 대해 서술했다. 그래서 재미있다.

저자 사이먼 윈체스터는 영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지질학자다. 그 유명한 <가디언>지에서 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가 조사한 지식의 기원과 사례 뿐만 아니라 직접 겪은 사실들을 흥미롭게 풀어냈다.

책은 총 6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인류 문명 초기의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부터 전승, 그리고 현대의 기술 발달로 인해 변화하는 지식의 형태에 대해 알 수 있다. 마치 지식에 대한 백과사전을 읽는 것 같다.

인류와 문자 발명, 책의 제작, 인쇄술, 도서관, 도서 분류 체계, 종이의 발명, 백과사전의 흥망성쇠, 학교, 시험, 신문, 잡지, 출판, 미디어, 공영방송, 가짜뉴스, 프로파간다, 컴퓨터, 구글, 인터넷, AI 등. 이 모든 키워드가 이 한 권의 책에 담겨있다.

기억에 남는 부분이 많지만 4장 '조작의 연대기'에서 저자가 직접 겪은 '피의 일요일'에 대한 내용이 가장 인상적이다. 1972년 북아일랜드에서 영국군이 북아일랜드 시위대를 공격하여 민간인 13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저자는 당시 '가디언'지 기자로 현장에 있었다. 그는 영국인이지만 진실을 목격했기에 그것을 그대로 기사로 쓴다. 이 문제는38년이 지나서야 진상조사가 이루어졌고 저자는 증인으로서 당시 현장에 대해 증언을 한다. 그 결과 영국 총리는 사과문을 발표하게 된다.

이 때의 증언 이후 그는 오래 전 돌아가신 할머니의 지인으로부터 연락을 받는다. 저자가 기사를 썼던 당시, 저자의 할머니는 손자가 쓴 영국군 비판 기사 때문에 주변 이웃들로부터 비난을 받았었다고. 이런 일을 당한 할머니는 손자에게 이 사실을 숨겼지만 아마 하늘에서 저자를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고 지인은 연락했다. 영화 같은 이야기다.

왜곡된 지식은 끊임없는 문제제기와 노력으로 언젠가는 탄로가 나게 된다는 사실을말해주는 것도 같다. 요즘 우리 사회의 역사왜곡 사태도 생각나게 했다.

인쇄술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를 개발한 내용이 있다. 물론 작게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되었다는 내용도 있어 다행이었다. 하지만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 개발 타이틀을 가져가게 된 것은 단지 그가 유럽인이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는 첫 출판물로 '구텐베르크 성경'을 제작했다. 돈을 벌 수 있는 책을 제작해서 비싸게 팔았던 그는 비지니스적으로도 트인 인물이었다. 고려 시대에도 금속활자로 아시아 전역에 팔리는 책을 찍어냈더라면 어땠을까.

'지식'이라는 분야의 역사에 대해 관심있다면 추천하고 싶은 책. 어렵지 않은 문체에 저자의 혜안과 위트가 더해져 매우 충실한 교양 역사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