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프란츠 카프카 지음, 이재황 옮김, 루이스 스카파티 그림 / 문학동네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부조리한 의식에 빠져 있을 때 순간적으로 뇌리의 깨임이 생기곤 한다. 찰라에 의식의 현기증이 일어나면서 저 깊은 의식의 심연속으로 털썩 주저앉아 버린다. 그리고는 용틀임이 거세게 일어나 우리를 변화시킨다.

나는 카프카의 '변신'을 읽으면서 이러한 천지개벽하는 동양적 상상의 희열을 맛보았다.

어느날 자고 일어나보니 곤충이 되어버린 나! 의 극적인 변화. 비록 카프카의 변신이 끝내는 파멸이란 종지부로 막을 내리긴 했지만 그러한 극적인 변화의 시도는 숨막히는 테크노 공간의 호모사피엔스에겐 탈출욕구를 자극시킴으로써 희열을 느끼게 한다. 이탈과 일탈 그리고 탈출에의 욕구마저 소멸시켜버리는 테크노 공간의 중력에 함몰되지 않으려는 인간들 바로 그들은 변화를 추구하는 존재들이다.

미지근한 물 속을 헤엄치는 개구리는 점점 뜨거워지는 물의 상태를 의식하지 못하고 결국 파멸의 운명을 맞이한다. 미지근함으로 인한 의식의 마비로 인해서.

단조로운 삶의 공간 속의 인간 역시 단조로움으로 인해 의식이 마비되고 점점 퇴폐와 향락으로 뜨거워지는 그들의 존재공간은 결국 증발하고 만다. 당신들의 존재공간은 뜨거운가. 변화를 꿈꾸는 것, 그것은 우리의 의식을 깨우고 흥에 겨워 출렁거리는 삶의 공간 속으로 인도한다.

삶의 공간으로서의 환경과의 커뮤니케이션 부재와 단절은 정작 인간을 소외시킴으로써 공간 안의 또 다른 공간으로서의 블랙홀(Black Hole)로 함몰시킨다. 존재가 그곳에 놓여지는 순간 입구는 사라진다. 막힌 공간에서 출구를 찾으려는 인간의 허우적거림은 죽음이라는 미지의 세계를 동경하게 만든다. 죽음은 끝인 동시에 새로운 시작이라는 환상을 그들에게 부여한다. 그들은 화이트홀(White Hole)을 꿈꾼다. 출구부재의 존재공간으로 기꺼이 자신을 내던진다. 하지만 그곳은 지치고 소외된 존재들의 도피처가 될 수 없다. 도피처로의 그들의 변신은 실패하고 만다. 도피수단으로서의 죽음은 실패하고 마는 것이다. 그들이 선택한 공간은 유토피아의 에덴동산이 결코 아니다. 그곳은 파멸의 공간인 소돔과 고모라 성(城)이다.

우리가 선택하고 변화해야 하는 공간은 순수영역으로서의 존재공간으로 우리곁에서 늘 함께 존재하는 삶으로서의 공간이다. 우리가 존재하는 공간으로서의 환경에 대한 애정과 관심은 존재공간을 도피처로 전락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인간은 소외되지 않는다. 인간은 사랑으로 하나가 된다. 사랑은 인간으로 하여금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에너지이고 힘이다. 변화의 궁극적 지향점은 사랑으로 순수한 존재공간에 이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삶을 위한 진정한 변화이다.

"시계들은 일치하지 않는다. 외부의 시계는 몰아치는데, 내부의 시계는 쉬엄쉬엄 보통의 속도를 유지한다. 우리는 깨어나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세계를 향해 나를 찾아 변화해야만 한다."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