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일 비비언 고닉 선집 3
비비언 고닉 지음, 김선형 옮김 / 글항아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뭐라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비비언 고닉의 글. 이번 책은 글항아리 비비언 고닉 선집의 세 번째 책으로 출간된 <끝나지 않은 일>이다. 노년의 비비언 고닉이 젊은 시절 그녀의 삶에 영향을 미쳤던 문학을 다시 읽고 쓴 일종의 독서 에세이. 고닉의 글은 언제나 기대 이상이지만, 특히 이번 책은 <아무도 지켜보지 않지만 모두가 공연을 한다>를 처음 읽고 느꼈던 감동과 맞먹을 정도로 좋았다.

우리는 왜 문학을 읽는가? 우리는 문학으로부터 무엇을 발견하는가? 작가는 왜 문학을 집필하는가?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은 결국 ‘나 자신을 알기 위해서’로 수렴될 수 있으리라. 작가는 꼭 자기 자신만큼만 쓸 수 있고 독자는 꼭 자기 자신만큼만 읽을 수 있다. 고닉은 다시 읽기를 통해 과거의 자신을 마주하고, 그로부터 훌쩍 성숙해진 시선으로 한층 더 깊게 작품을 읽어낸다.

문학을 읽을 때 독자는 행간에 무엇이 드러나있는지 무엇이 숨겨져있는지 감각적으로 안다.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저자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어떤 입장을 취하고있는지까지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문학 읽기는 저자와 등장인물과 독자의 일인삼각과도 같다. 고닉은 이 지점을 아주 기민하게 짚어낸다. 관련하여 고닉이 뒤라스의 <연인>에 대해 쓴 글들이 특히 인상깊었다. (‘...그럼에도 결국 나 역시 뒤라스와 똑같은 집착에 구속받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데, 그건 그가 성애의 망각에 평생을 바치고도 자유를 얻지 못했듯이 어른이 된 나의 앎도 나르시시스트적 상처에서 나를 해방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닉 글의 매력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에서 나오는 듯하다. 나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곧 타인과 세상을 향한 이해로까지 확장될테니. 그리고 문장마다 느껴지는 문학과 글쓰기에 대한 사랑 역시 좋아할 수밖에 없는 부분.

‘문학작품에는 일관성을 갈구하는 열망과 어설프고 미숙한 것들에 형태를 부여하려는 비상한 시도가 각인되어 있어, 우리는 거기서 평화와 흥분, 안온과 위로를 얻는다. 무엇보다 독서는 머릿속 가득한 혼돈르로부터 우리를 구원하며 순수하고 온전한 안식을 허한다. 이따금, 책읽기만이 내게 살아갈 용기를 준다는 생각이 든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그랬다. (11p)’

*판형, 표지 및 본문 디자인(폰트, 정렬, 여백), 번역 퀄리티 모두 흠잡을 데 없이 만족스러웠다. 글항아리에서 비비언 고닉 책 계속 나왔으면 좋겠다. 비비언 고닉 선생님 책 많이 써주셨으면.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