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위한 내 일 - 일 잘하는 여성들은 어떻게 내 직업을 발견했을까?
이다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정된 일자리가 줄어들고 프리랜서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곳곳에서 접한다. 주변에서는 ‘나는 n잡러다‘하는 선언도 심상치 않게 들려온다. 이럴 때일수록 나의 불안함은 하늘을 뚫고 저 우주 멀리까지 치솟는다. 대체 나는 무슨 일을 해야 하는 걸까? 이 드넓은 세상에 내 적성에 꼭 맞지는 않더라도 대충 비슷한 일자리 하나쯤은 있을 텐데. 도대체 스스로의 업은 어떻게 만들어가야하는 걸까? 청소년기에 진작 해야했을 진로 고민을 엉뚱한 시점에 하고 있는 건 아닐까 불안했었는데 ‘진로 고민을 평생 하게 될 줄은 몰랐다‘라는 말로 시작하는 멋진 인터뷰집이 나왔다. (아, 평생!) 이다혜 작가와 일곱 명의 일하는 여성들의 이야기가 담긴 <내일을 위한 내 일>이다.



이 책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일곱 명의 여성들이 인터뷰이로 등장한다. 영화감독 윤가은, 배구 선수 양효진, 바리스타 전주연, 소설가 정세랑, 경영인 엄윤미, 고인류학자 이상희,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다양한 진로만큼이나 다양한 여정을 거쳐온 이들이다. 일곱 편의 인터뷰를 읽으며 결국 정해진 길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는 것과 인터뷰이들도 각자의 자리에서 그때그때의 최선을 다하며 일하고 있다는 것을 배웠다. 여기서 방점은 그때그때의 최선을 다하는 것에 있다. 어쨌든 한 걸음씩 계속해서 나아가는게 중요한 것이다. 또, 일곱 인터뷰이들의 일에 대한 태도가 공익을 향해 확장되고 있는 점도 흥미로웠다. 인터뷰이들이 모두 자신의 분야에서 성취를 이룬 분들이어서일까. 진로 고민뿐만 아니라 일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만드는 인터뷰들이다.



동시대 여성들의 이야기는 들어도 들어도 더 듣고 싶다. <내일을 위한 내 일>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 산뜻하게 읽히는 책이다. 아, 서문에 따르면 철저한 원칙(인터뷰 비용 및 시간, ‘최선을 다한 집중으로 정돈된 표현‘) 하에 인터뷰가 진행되었다고! 인터뷰 내용이 군더더기 없이 명료한 이유가 있었다. 하지만 후루룩 읽고 마는 게 아니라, 조금 더 시간을 들여 천천히 살펴보고 싶은 책이기도 하다. 인터뷰를 읽는다는 건 인터뷰이의 ‘살아온 모든 날들의 이야기‘를 만나는 것이니까.





+ 함께 읽어볼 것들 : <우리가 사랑한 내일들>(90년대생 여성 10명의 인터뷰집, 아직 읽기 전이지만 라인업만 봐도 느껴지는 명작의 기운), <언니들이 있다>(각자의 세상에서 치열하게 살아온 열 두명의 ‘언니‘들 인터뷰집), 카카오 페이지 ‘멋있으면 다 언니‘(단행본 빨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