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 바통 3
강화길 외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덟 명의 여성 소설가가 참여한 ‘고딕-스릴러‘ 테마 소설집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 궁금했다. 여성이 그려내는, 여성이 주인공인 고딕 스릴러란 어떤 이야기일지. 또 여덟 편이 각각 얼마나 비슷하고 또 다를지. 허희정 소설가의 작품 속 한 구절을 따온 제목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에 계속 눈길이 가기도 했고.



이 소설집 속 작품들은 서늘하고 스산하고 위태롭다. 주로 속을 가늠할 수 없는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이들 중 일부는 분열되고 심지어는 파열된 내면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주인공은 어떤 식으로든 다른 여성들과 영향을 주고받는데, 그 주체도 객체도 여성이라는 점이 좋았다. 또한 소설 속에는 여성들로 이루어진 공동체도 등장하고(‘단영‘,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 고딕 풍의 성을 연상시키는 장소(<이전의 여자, 이후의 여자>)도 등장한다. 이토록 다채로운 결의 이야기들을 한 번에 읽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유의미했던 독서 시간.



그중에서도 가장 좋았던 작품은 임솔아의 ‘단영‘, 천희란의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 최진영의 ‘피스‘다. ‘단영‘은 사람들이 원하는 비구니의 이상적인 모습을 구현하여 절 하은사를 운영하는 효정과 그녀가 설립한 대안학교에 머무르는 여성들의 이야기다. 속세로부터 떨어진 절이라는 공간이 더없이 세속적이라는 모순. 설정부터 독특하고 또 새로웠다. 그런가 하면 ‘카밀라 수녀원의 유산‘은 여성으로만 이루어진 공동체에 라우라와 그녀의 엄마가 머무르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비밀에 싸인 수녀원과 라우라 모녀의 갈등이 그려진 이 소설이야말로 여덟 작품들 중 가장 스릴러에 가깝지 않나 싶다. 믿고 읽는 최진영 작가의 ‘피스‘ 또한 기대 이상이었다. 딸들을 비하하는 방식으로 보호하고자 했던 엄마와 자살을 시도한 언니를 둔 주인공의 이야기다. 어두운 동굴 속에서 들려오는 것만 같은 문장의 리듬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상관없어 보이는 일들이 상관을 하며 굴러간다‘(226p)



결국 이 소설집은 소외된 자들이 가진 파괴적인 욕망을 그려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강지희 문학평론가의 발문도 놓치지 말고 읽어보시길. 소설을 읽음으로써 지독하게 외로운 주인공들을 조금은 이해하게 될지도 모르니까. 이는 곧 나의 외로움 또한 이해될 수 있다는 희망이기도 하다. ‘소외된 자들의 외로움은 지독하게 이어지지만, 그 고립이 정확하게 이해되는 순간에 어떤 연대가 된다.‘(266p)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