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V 빌런 고태경 - 2020 한경신춘문예 당선작
정대건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음 챕터로 넘어가야 한다. 때로는 오케이가 없어도 가야 한다.‘(198p)



좋아하는 것에 바치는 순정같은 소설 <GV 빌런 고태경>. 전작 흥행에 실패한 영화감독 조혜나가 GV빌런 고태경을 주인공으로 다큐멘터리를 기획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초반에는 생계 유지는 물론 다음 작품 제작에도 난관을 겪고 있는 주인공 혜나의 시니컬함에 살짝 당황했지만 곧 영화 업계에 대한 촘촘한 묘사와 흥미진진한 전개에 푹 빠져 읽었다.



일단 행사 참가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그야말로 공공의 적인 GV빌런을 조명한다는 소설의 설정 자체가 재미있다. GV 빌런은 GV(Guest Visit)행사에 등장하여 분위기를 흐리는 빌런을 뜻하는 용어다. 가장 새로웠던 점은 시선의 방향을 틀어 이들에게 구체적인 서사와 존엄을 부여한 데에 있다. ‘그들의 얼굴이 화끈해지도록 일침을 가하고 싶‘어서 다큐멘터리를 기획한 혜나 또한 고태경을 따라다니며 그의 사연과 생각을 접하며 변화한다. 결국 다큐멘터리 제작을 통해 혜나가 확인하게되는 것은 고태경과 그녀의 접점, 영화를 향한 사랑이다.



영화. 이 소설도 영화를 향한 사랑으로 가득차있다. ‘시네필끼리 연애하다 헤어지면 영상자료원이나 아트시네마에서 마주치게 된다.‘는 문장을 읽고 한참 웃었다. 이 외에도 소설 속에는 영화 지망생이나 시네필 뿐만 아니라 영화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제법 흥미로울 구절들이 가득하다. 특히 전작의 실패에도 계속해서 영화를 찍는 조혜나, 20년째 입봉을 준비하고 있는 GV빌런 고태경, 유튜버로 전향한 윤미 등 영화와 연결된 이들의 다양한 사연들이 인상적이었다. 저자는등장인물 한 명 한 명을 세심하게 조명하며 현실과 꿈의 균형을 그려내고 있다.



무엇보다 <GV빌런 고태경>은 유예된 삶을 살고 있는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소설이다. 또한, 이 책을 빌어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든 그렇지 않든, 꿈이 있든 없든 ‘모든 영화는 완결되어야‘ 하며 여기서 영화는 곧 삶이며 모든 삶은 그 자체로 완전하다고 말하고 싶다.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