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디의 끝
에두아르 루이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9년 10월
평점 :
1992년생 에두아르 루이가 22살에 출간한 자전적 소설 <에디의 끝>. 프랑스 북부 산업도시에서 나고 자란 에디는 남성이지만 ‘여성스럽다‘는 이유로 가족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로부터 멸시와 따돌림을 당한다. 가난, 폭력, 무지가 끊임없이 대물림되는 작은 마을에서 에디가 벗어날 수 있는 길은 물리적인 탈출 뿐이다. 이 소설은 에디가 마침내 마을에서 벗어나기까지의 성장사를 담고 있다. (트렌스젠더 인권 활동가 Paris Lees와 엠마 왓슨의 인터뷰 영상(British Vogue) 말미에 이 책이 언급되는 것을 본 뒤부터 읽고 싶었던 책이다.)
책 속의 폭력 묘사가 너무나 생생하고 잔인하여 출간 직후 기자들이 사실 여부를 밝히기 위해 저자의 고향 마을을 찾기도 했다고. 에디의 친구들은 상습적으로 그에게 침을 뱉고 구타를 가한다. 마을 사람들은 에디를 무시하고 조롱하며 부모는 그런 아들을 부끄러워한다. 에디는 필사적으로 ‘남성성‘을 어필하기 위해 애쓴다. 친구들과 축구를 하고 성관계 동영상을 보고 여자친구를 사귀는 일. 그러나 그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디가 남성에게 성적 매력을 느끼는 동성애자라는 사실은 점점 확고해진다.
마을 사람들은 왜 ‘남성성‘에 천착하는가? 왜 ‘남성성‘의 규범에서 벗어난 에디를 괴롭히는가? 저자는 이를 구조적인 문제라고 지적한다. 에디가 나고 자란 마을 사람들 대부분은 공장 노동자이고 경제적, 문화적인 여유를 가지지 못하는 이들이다. 가난과 폭력, 무지가 계속되는 이유다. 계급의 문제다. 그게 전부인가? 우리는 소설의 말미에 에디가 가까스로 마을을 탈출했을 때, 소위 부르주아들이 에디에게 무엇이라고 말했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 ‘호모 새끼‘. 공장 노동자들이나 부르주아들이나 작은 마을에서나 도시에서나 동성애자는 환영받지 못한다. 사회 구조적인 억압 속에서 에디가 탈출할 수 있는 길은 없다.
차별과 혐오, 배제는 유해하다. 필연적으로 그것들을 재생산하는 가부장제도 유해하기는 마찬가지다. 또한 에디의 이야기가 비단 프랑스 북부의 한 마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닐 것이다. 저자의 ‘나는 당신들이 끊임없이 불편하기를 바란다‘는 말을 기억하자. 계속해서 배우고, 공감하고, 변화하는 것만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