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제1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강화길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매년 4월이면 돌아오는 기쁨,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올해 작품집은 유독 한 편 한 편이 크게 느껴졌다. 작품에 담긴 이야기도, 그것을 풀어나가는 작가들의 솜씨도, 작가노트에 담긴 단상들도 아주 진한 핫초코같았다. 무겁고 진득하지만 달콤해서 계속 마시게 되는 핫초코. 심사평에 이르러 서영채 문학평론가의 ‘대단한 공력이 느껴졌다‘는 표현을 읽고 ‘내가 느낀게 이거였어! 역시 문학평론가는 다르다.‘하고 생각했다. 딱 그거다.



이번 작품집에는 강화길의 ‘음복‘을 필두로 최은영, 김봉곤, 이현석, 김초엽, 장류진, 장희원의 작품들이 수록되어있다. 작품집을 읽다보면 유난히 마음이 가는 작품들이 있기 마련인데 이상하게도 이번에는 선뜻 고르기가 어려웠다. 일곱편 모두 작가들이 각각의 스타일로 공력을 쏟아부은 작품들이기 때문이 아닐까. 아직 책을 내지 않은 이현석, 장화원 두 작가의 작품은 처음 읽어보는 것이었는데 정말 놀라웠다. 꼭 기억해두었다가 첫 책이 출간되면 놓치지 말아야지 생각했다.



그래도 작품에 대해서 말해보자면, 대상 수상작인 ‘음복‘은 몇 번을 읽어도 놀라운 작품이다. <소설 보다 가을 2019>를 통해 처음 읽었던 작품인데, 이번에 새로 읽으며 그 때는 이 소설의 진가를 제대로 몰랐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부장제 내에서의 권력 관계, 무지와 앎, 그것의 재생산 그리고 스릴러를 방불케하는 스산함까지. 직접 보고 자란 제삿날의 일화들이 머릿속에서 재생되는 경험을 했는데 이 소설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알아챈 나의 눈치가 얄미워질 지경이었다. 소설을 쓰는 건 멋진 일이라는 작가의 말도 계속 기억에 남는다.



최은영의 ‘아주 희미한 빛으로도‘와 장희원의 ‘우리(畜舍)의 환대‘도 특히 놀라운 작품이었다. 어떻게 놀라운 작품들인지는 꼭! 읽어보시길.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