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릭스와 크레이크 ㅣ 미친 아담 3부작 1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차은정 옮김 / 민음사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시녀 이야기>와 <증언들>을 읽고 이 기세를 몰아 마거릿 애트우드 전작 읽기에 도전해보겠다며 야심차게 구매한 미친 아담 시리즈 3부작.(민음사에서 개정판으로 출간되었다!) 예쁘장한 만듦새에 반해 세 권 모두 제법 두께가 있어 독서를 미루고 있다가 이제서야 첫번째 권인 <오릭스와 크레이크>를 읽었다.
마거릿 애트우드의 디스토피아 소설은 철저히 현재에 기반한다. <오릭스와 크레이크>또한 현재 진행중인 환경 파괴, 인구 증가, 생명 공학의 발전과 윤리, 자본주의의 횡포를 밀고 나갈 수 있는 데까지 밀고나간 소설이다. 유전자 조작이 무궁무진하게 가능해진 시대에서 모든 산업의 목적은 이윤창출이다. 소설에는 신장이 여러개이거나 머리가 없는 동물이 등장하며 영상물을 통한 쾌락 소비는 일상이다. 이런 설정들은 너무나 경악스럽지만 생각해보면 그렇게 불가능한 이야기도 아닌 것 같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경고다. 가장 나쁜 쪽의 미래를 보여주는 거울이다.
소설에서는 현재 ‘눈사람‘과 과거 ‘지미‘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진행된다. 지미는 인류가 거의 멸종한 뒤 자신의 이름을 버리고 눈사람이라는 이름을 택했다. 그리고 눈사람이 된 그에게는 신인류 ‘크레이커들‘이 있다. 크레이커들은 친구이자 유능한 유전학도인 크레이크가 만든 이들이다. 크레이커들에게는 교묘함도 눈속임도 찾아볼 수 없다. 이들은 기능적으로 우수하게 창조되었다. 그러나 나는 이들에게서 인간성이 결여되어있다고 느꼈다. 인간성이란 무엇이냐 하면 수많은 말을 덧붙일 수 있겠지만, 글쎄,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기능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양심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것. 2권과 3권을 마저 읽어봐야 제대로 판단할 수 있겠지만 말이다.
저자의 다른 저작들이 그렇듯 <오릭스와 크레이크> 또한 어마어마하게 치밀하다. 실제로 꼼꼼한 고증이 바탕이 되었다고 하니 그 노력이 얼마나 컸을지! 원작이 2003년에 출간되었는데 그때보다 지금 세상은 더 나아졌는가 생각해보면 바로 긍정적인 대답이 나오지는 않는다. 지금 2020년의 세상은 지옥을 향해 달려가는 폭주기관차같다. (나의 세계만 지옥인가!) 그러나, 그러므로, 우리는, 세상은, ‘더 나아져야만‘ 한다. (정혜윤PD의 글에서)
www.instagram.com/vivian_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