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렬지
옌롄커 지음, 문현선 옮김 / 자음과모음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옌렌커의 소설은 치열하다. 분량면에서도 어마어마하지만 가장 독보적인 것은 소설을 끝까지 밀고나가는 집요하고도 맹렬한 힘이다. 그래서 그의 소설을 읽을 때면 종종 압도당하는 기분이 든다. 압사까지는 아니어도 기절정도는 충분히 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함께! 이번에 번역 출간된 <작렬지>는 ‘자례‘라는 허구의 도시가 향촌에서 대도시로 승격되기까지의 일대기를 숨가쁘게 그려낸 소설이다.



이 소설은 ‘자례‘가 대도시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쿵씨 가문의 둘째 아들 쿵밍량의 인생을 함께 따라가며 보여준다. 쿵밍량이 어떻게 촌장 자리를 얻어내고 마을을 도시로 발전시켰는지가 600페이지동안 아주 숨가쁘게 진행된다. 그 중심에는 한 개인의 욕망이 있다. 물론 마을의 발전은 유흥업소와 기타 향락시설이 있기에 가능했고 온갖 로비와 뒷돈이 있기에 가능했다. 소설의 처음에는 ‘다 함께 우리 마을을 발전시켜서 자랑스러워하자‘던 쿵밍량은 점차 개인의 권력만을 탐하는 인물이 되어간다. 사실 쿵밍량과 그의 아내인 주잉, 형제인 쿵밍광, 쿵밍야오, 쿵밍후이를 비롯해 이 소설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다 기능적이다. 소설을 읽는 내내 이들이 개개인으로 다가오기보다는 거대한 서사에 등떠밀려간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따로 애쓰지 않았지만 인물보다는 소설의 흐름에 집중하며 읽게 되었다.



작가의 말에서 저자는 ‘혼란스러운 오늘날 중국에서 삶에서도 보이지 않고 대지에서도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거친 뿌리‘를 포착하고자 이 소설을 집필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그는 ‘규칙과 과정이 목적으로 대체된‘ 오늘날의 중국을 그려내고자 노력했다고 덧붙인다. 많은 독자들이 예상하겠지만, 옌렌커의 다른 몇몇 책들과 마찬가지로 <작렬지> 또한 중국의 현실을 전면적으로 다루고 있어 금서로 지정될 위기를 겪었다고. 현대 중국의 가파른 성장이, 휘황찬란한 대도시들과 황량한 볼모지의 공존이, 그 밖의 모든 기이함들이 궁금하다면 이 책이 조금은 답이 되어줄지도 모르겠다.



(*서평단 활동으로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