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쓴다 정희진의 글쓰기 1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의 도전>을 처음 읽었던 날을 기억한다. 도서관에서 너덜너덜해진 책을 빌려 읽었는데 서문을 읽자마자 가지고 있던 노트를 펼쳐 이후 거의 대부분을 필사하며 읽었다. 개정판이 나왔을 때 기쁘게 구매했지만 필사했던 노트도 아직 가지고 있다. 그 때만큼 책에 깊이 몰입해서 읽고 옮겨 적었던 날은 아직까지 없었던 것 같다. 서문의 ‘나는 안다는 것은 상처받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문장을 머릿속에 새기며 이후 정희진의 글을 열심히 따라읽었다. 페미니즘 공부의 시작이기도 했고.

그리고 2020년에 만난 정희진의 글쓰기 첫번째 책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쓴다>. 이 책을 한 번 읽은 것으로 ‘읽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잘 모르겠다. 열심히 밑줄긋고 메모하며 읽었지만 영 부족하게만 느껴진다. 계속 펼쳐보며 곱씹어야 할 것 같다. 배움, 깨달음, 인식의 확장.

이 책에는 한겨례에 연재되었던 서평글이 실려있는데, 전반적으로 글쓰기에 대해 아우르며 근 몇 년간의 한국 정치, 세월호 등 다양한 주제를 넘나드는 글들이 가득하다. 저자의 글을 읽는 첫번째 이유가 그 사유의 폭을 뒤따라가며 하나라도 더 배우기 위함이라면 두번째 이유는 솔직함 때문이다. ‘나도 늘 길이 아님을 알면서도 가르침대로 쓰지 못하고 성질대로 쓰다가 길을 잃는다‘(89p), ‘나는 한심하게도 특정한 종류의 인간형을 경멸하는데 열정을 쏟는 ‘뒤끝의 끝판왕‘이다.‘(145p)와 같은 ‘모르겠고 그냥 말해버리자 에잇‘류의 자기고백을 읽을 때면 쿡쿡 웃다가도 표현의 가식없음에 감탄하게 된다. 그러니까 가벼움과 무거움이 동시에 느껴지는 글들이라는 뜻이다. 아주 좋은 의미에서.

한 개인은 소수자성과 특권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사람들이 자신의 소수자성에 예민한만큼 특권에도 예민해졌으면 좋겠다.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범주에서 벗어났으면 좋겠다. 나와 다른 타인을 이해하려고 노력했으면 좋겠다. 자기 자신만의 이익을 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지식인도 성인(聖人)도 아닌 일개 범인(凡人)에 불과하지만, 더 많이 배우고싶고 더 노력하고 싶다. 나 자신에게 부끄러운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 정희진의 글을 읽으면 이 다짐을 계속 환기하게 된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어진다.

그럴 수 있을까.

많은 이들이 정희진의 글을 읽었으면 좋겠다. 그의 글을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고 다짐했으면 좋겠다. 모두가 그렇게 노력했으면 좋겠다. 상처를 두려워하지 않고 기꺼이 배웠으면 좋겠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