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토벤 - 절망의 심연에서 불러낸 환희의 선율 ㅣ 클래식 클라우드 17
최은규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2월
평점 :
2020년은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 되는 해다. 지금도 베토벤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사랑받는 음악가들 중 한 명이다.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았을 법한 ‘비창‘, ‘운명‘, ‘합창‘ 교향곡들, 그리고 청력 상실이라는 비극 앞에서 예술로 파고든 위대함. 이미 베토벤의 삶과 음악은 여러 평전들과 문학, 영화, 드라마로 제작된 바 있다. 그럼에도 최은규 음악칼럼니스트가 베토벤의 발자취를 따라 여행하며 쓴 이 에세이는 조금 각별하게 여겨진다.
일단 베토벤의 음악에 대한 설명이 클래식 음악을 잘모르는 이가 읽어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될 만큼 명료하다. 또한 책 속에 삽입된 QR코드를 통해 유튜브 연주 영상을 바로 들을 수 있다는 점이 굉장히 편리했다. 바로 음악을 들으며 그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으니 눈과 귀가 모두 즐거웠다. 특히 수많은 버전의 연주들 속에서 어떤 연주를 들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 사람으로서 제시된 음악을 믿고 들을 수 있어 좋았다.
또한 19세기의 시대적 배경에 중심을 두고 베토벤을 바라보았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베토벤이 귀족들과 대중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는 작곡가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 시대적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 자기 주도적으로 작품을 만들 수 있었던 19세기형 천재 예술가 베토벤은 역시 시대를 잘 타고나기도 했던 것이다. 그가 오르간 연주를 시작으로 화려한 즉흥연주로 유명세를 떨친 훌륭한 피아니스트였다는 사실은 처음 알게되었는데, 당대에 ‘매드 피아니스트‘로 명성을 떨쳤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괜히 즐거웠다. 책 속에 소개된 여러 일화들 중에서도 피아노협주곡 1번 연주회에서 모든 악기가 반음씩 낮게 조율된 상태였는데, 베토벤이 즉흥적으로 피아노를 반음 낮게 연주했다는 일화는 그야말로 소름이 돋을 정도다.
무엇보다 베토벤이 1802년에 청각 문제로 고통받으며 쓴 ‘하일리겐슈타트의 유서‘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동생들에게 전하는 고통에 가득찬 절규이자 ‘예술만이 나를 지탱해주었다‘는 그의 절절한 고백. 결국 이 유서는 보내지지 않았으며 이후 베토벤은 다시 일어나 ‘영웅‘, ‘황제‘를 비롯한 걸작들을 쏟아내기 시작한다. 에필로그에서 저자가 고백한 것처럼, 나 역시 책을 다 읽고 나니 화려한 성공을 거둔 ‘음악가 베토벤‘보다는 ‘인간 베토벤‘이 더 깊게 마음 속에 남는다. 결국 베토벤에게는 항상 예술이 먼저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베토벤을 신격화하지 않고 19세기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베토벤을 바라봤다는 점, ‘인간 베토벤‘의 삶의 여정을 충실히 담아냈다는 점, 클래식 음악을 잘 모르는 독자도 즐겁게 읽을 수 있도록 명쾌하게 쓰여졌다는 점이 특히 좋았다. 하루종일 베토벤의 음악과 함께할 수 있어 더욱 풍요로웠던 일요일, 그리고 일요일의 책.
www.instagram.com/vivian_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