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스타그램에는 절망이 없다 - 밀레니얼 세대는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정지우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1월
평점 :
문화평론가 정지우 작가가 펴낸 <인스타그램에는 절망이 없다>. 밀레니얼 세대의 담론을 ‘청춘‘,‘젠더‘,‘공동체‘ 세가지 화두로 수렴해 풀어낸 에세이다. 서문에서 저자는 본인 또한 밀레니얼세대로서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바탕으로 ‘자신의 마음과 느낌에 충실‘한 글들을 묶어냈음을 고백하고 있다. 군더더기 없고 명쾌한 글들이다.
밀레니얼 세대란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뜻한다. 나 또한 밀레니얼 세대로서 책 속에 실린 글을 한 편 한 편 읽을 때마다 나의 답답함을 대변해준다는 느낌을 받았다. 특히 블루보틀에 관한 글에서 ‘이미지에 대한 ‘즉각적인 접촉의 욕망‘이 삶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는 표현이 인상적이었다. 팍팍한 각자도생의 삶에서 젊은이들이 향유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이미지 뿐이다. 프레임 속 이미지는 화려하지만 그 밖의 현실은 지난하다. 휴일마다 인스타 인증용 핫플레이스를 찾아다니는 일은 피곤하다. 어쩌다 이런 일들이 일어나게 된 걸까? 첫번째 챕터에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젠더에 대한 두번째 챕터에서 저자는 ‘여성 혐오가 없다는 말은 내가 아는 한 가장 명백한 거짓말 중 하나다‘라고 단호하게 말한다. 문제는 공고한 가부장제 카르텔이라고. 아직도 젠더 문제에 대해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이들이 있다면 이 챕터에 실린 글들을 읽고 깨닫는 바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기실 젠더 문제에 있어서는 현 사회를 살아가는 어느 누구도 혐의를 피할 수 없다. 결국 우리 모두가 가부장제 카르텔의 피해자이므로.
마지막 챕터는 공동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영화 <원더>에 대한 글에서 ‘옳음과 친절함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친절함을 택하라‘라는 인용에 깊이 공감했다. 타인과 함께 살아가면서 상처는 필연적으로 겪게 된다지만 아무렴 상처를 주는 것도 받는 것도 적으면 적을수록 좋을 것이다. 인간은 서로에게서 가치를 확인받고 살아있음을 느끼는 존재가 아니던가. 친절과 환대, 선의가 그 어느때보다 절실한 시대다.
밀레니얼 시대의 독자들에게, 이 시대의 청년들이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지, 어떤 생각을 하며 살고 있는지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으며 계속 생각났던 구절을 소개한다.
˝환대란 타자를 도덕적 공동체로 초대하는 행위이다. 환대에 의하여 타자는 비로소 도덕적인 것 안으로 들어오며, 도덕적인 언어의 영향아래 놓이게 된다. 사회를 만드는 것은 규범이나 제도가 아니라 바로 환대이다.˝ - <사람, 장소, 환대>, 242p
(*서평단 활동으로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