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
로셀라 포스토리노 지음, 김지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12월
평점 :
다 읽느라 어제 새벽까지 잠을 못이루게 한 바로 그 책, <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 읽을 책 목록에 올려둔지는 꽤 되었는데 시간적 배경이 배경인지라 감정적 타격이 있을까 걱정되어 미뤄두었었다. (나는 책을 읽을 때 감정이입을 곧잘 하는 편이고, 특히 전중 혹은 전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대체로 읽는 동안 극도의 고통을 느낀다. 물론 작품에 따라 다르지만 개인적인 상태가 좋지 않을 때에는 아예 관련 작품들을 통째로 피하는 편이다.) 그러다 읽을 책은 많은데 읽고 싶은 책이 없어서(?) 고르고 고르다 펼쳐들었다.
우려와는 달리 아주 몰입하면서 시간가는줄 모르고 읽었다. 이 소설은 평범한 한 여자의 이야기다. 로자라는 이름의 이 여성은 독일인이며 결혼한지 1년밖에 안 된 상태에서 남편이 전장에 자원해 홀로 남겨졌다. 부모님은 돌아가셨고 시부모님의 집에 피신온 상황에서 그녀는 히틀러의 시식단으로 불려간다. 히틀러가 먹을 음식을 미리 먹으며 독성을 검사하는 일이다. 시식단 10명은 모두 여성으로, 히틀러의 열렬한 추종자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도 있다. 하지만 어쨌든 이들은 음식이 주는 희열과 죽음의 공포가 매 순간 함께 경험한다.
이 소설에는 전쟁이라는 상황에서 다양한 입장에 처한 인물이 등장한다. 주인공 로자만 해도 계속해서 모순된 입장에 처한다. 히틀러의 시식단으로 일하는 것 자체도 그렇고 낯선 마을에서 동료 여자들과의 관계나, 남작 부인의 파티에 초대받는 일이나, 심지어 사랑을 하는 일도 그렇다. 전쟁 상황에서 본능적인 생존욕구와 신념을 지키는 것 사이의 갈등은 로자같은 평범한 이들에게도 계속해서 주어지는 시련이다.
이와 같이 전반적으로 ‘인간됨의 모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도 인상적이었지만, 내게는 무엇보다도 여성들간의 관계가 기억에 남는다. 로자를 포함한 10명의 시식단 여자들은 서로를 경계하다가도 공모의식을 느끼고 연대한다. 그러다가도 누구는 누군가를 배반한다. (며칠 전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봤기 때문인지 여성간의 연대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공상을 펼치게 되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사랑. 참혹한 전쟁 중에도 누군가의 손길을, 함께있다는 감각을 절실하게 필요로하는 사람들. 정신없이 읽히는 소설이나 생각할 거리를 뭉터기로 던져준다.
실존 인물 마고 뵐크의 인터뷰를 계기로 쓰여진 책이라 더욱 놀랍다. 시식단 중 유일한 생존자인 마고는 70여년간의 침묵 끝에 입을 열었다. 전쟁이 끝나고도 그녀의 실제 삶은 평탄하지 않았다고. 그와는 별개로 이 소설의 결말도 참 놀랍다. 궁금하다면 직접 읽어보시기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www.instagram.com/vivian_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