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도 우리의 나날
시바타 쇼 지음, 권남희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12월
평점 :
피곤해서 일찍 자려고 집에 들어왔는데 그만 누운 자리에서 시바타 쇼의 <그래도 우리의 나날>을 다 읽어버렸다. 요즘 하는 일이라고는 책 읽는게 전부인데다 이 책은 겨우 200페이지 남짓한 소설이니 한자리에서 다 읽은 것이 별로 대수롭지는 않은 일이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마지막 장을 덮고 나니 더 이상 잠이 오지 않는다.
이 책은 신형철 평론가가 남긴 추천사 '세계 최고의 소설이 아니다. 그러나 내 인생의 소설이다' 하나만 보고 사서 읽었다. 다 읽고 나니 그 말이 얼마나 적확한지 알겠다. 1964년 아쿠카타와 수상작으로 오래 전에 쓰인 소설이지만 전혀 올드하지 않다. 오히려 어떤 표현은 섬뜩할 정도로 예리해서 한참 들여다봤다. 또 어느 페이지는 인간의 감정을 어쩌면 그렇게 섬세하게 포착해냈는지 절반 이상을 밑줄로 그을 수밖에 없었다. 이토록 상당히 놀라운 작품이기는 했으나 아쉽게도 나에게 인생의 책은 아니었다. 물론 어떤 이에게는 인생의 책이 될 수밖에 없음을 이해한다. '인생의 무엇'은 항상 예기치 못한 순간에 찾아오는 법이니까.
불을 끄고 누웠는데도 자꾸 이 책과 관련된 상념들이 머릿속을 떠다녀 도저히 잠들 수가 없었다. 무엇이 나를 이렇게 괴롭히는거지. 아무래도 내가 언어로 표현할 수 없었던 것들을 이 책의 어떤 부분에서 읽어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런데 내가 어떤 장면 때문에 계속 마음을 졸이고 있는지 짚어낼 수는 있어도 정확히 '왜'인지는 표현할 수가 없다. 그게 나를 불안하고 답답하게 만든다. 남의 언어로 표현된 문장을 읽으면서도, 이게 내 감정이다 싶으면서도, 그것을 내 언어로 만들어 낼 수는 없다. 무력하고 공허하다. 어쩔 줄을 모르겠다.
기실 내가 책을 읽는 가장 큰 이유가 나의 언어를 찾기 위함인데도 막상 결정적인 순간에는 두려움이 나를 압도한다. 대체 언제쯤 나는 나를 말하는 사람[1]이 될 수 있을지.
-
[1] 뮤지컬 '레드북'
https://www.instagram.com/vivian_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