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치콘티니가의 정원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조르조 바사니 지음, 이현경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금테안경>에 이어 두번째로 만나는 조르조 바사니 작품 <핀치콘티니가의 정원>. 파시즘 말기인 1938년부터 1943년의 이탈리아를 작중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다. 홀로코스트 문학으로도 종종 분류되곤 하는 작품이지만, 사회 정치적 사건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다는 점이 독특하다. 오히려 주인공 내면의 불안과 고독을 예리하게 다뤄내는 쪽이다. 실제로 바사니는 작가라면 ‘시인’이 되어 ‘순수하고 시적으로 무심하게’ 상황을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옮긴이의 말에서)

-

그래서인지 소설 후반부로 갈수록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들이 생각났다. 바사니 또한 보편적인 인간이 겪는 우울과 고독,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덕분에 사회고발적인 문학을 잘 읽지 못하는 나도 기꺼이 푹 빠져서 이 작품을 읽을 수 있었던게 아닐까.

-

소설의 대부분은 주인공이 핀치콘티니 가문과 조우하며 미콜을 만나 관계를 다져나가는 장면들로 꾸려진다. 하지만 정작 나는 후반부 장면들을 읽을 때 주인공의 행동에 공감할 수 없어 답답했다. 주인공에게 공감이 안되니 더 이상의 사색이 불가능했음은 물론. -

-

옮긴이의 말을 통해서야 더 깊이있는 독서가 가능한 작품임을 깨달아 아쉽다. 이를테면 정원과 미콜 캐릭터의 상징성 같은 것. 하지만 이러나저러나 주인공이 마음에 안드는걸 어쩔 수는 없으니.

https://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