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로 잘 알려진 소설가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데뷔작인 장편소설 <보라색 히비스커스>. 그녀의 소설은 <아메리카나> 이후 두번째로 읽는다. (<아메리카나>도 새롭게 커버를 단장해 출간되었다. 추천!)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첫째로 작가에 대한 믿음 때문이고 둘째로 표지가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소설 속 배경은 나이지리아. 가톨릭이며 원칙주의자이자 자수성가형 재벌이고 엄격한 가부장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주인공 '킴벌리'의 성장 소설이다. 오빠 자자와 킴벌리는 은수카에 사는 고모를 방문하면서 점차 자신들이 처한 상황이 비정상적으로 억압적이라는 것과 이제껏 겪어온 것과는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1인칭 소설인만큼 킴벌리의 변화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데, 그녀는 끊임없이 아버지의 세계와 새로운 세계 사이에서 갈등한다. 신부님을 통해 사랑에 대해 알게 되기도 하고.

친구에게 이 책을 읽고 있다며 표지를 보여줬더니 '우울할 것 같다'는 답을 받았다. 꽤 정확한 진단이다. 소설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억압적이고 우울하다. 그래서 읽는 내내 힘들었다. 나이지리아라는 배경과 가끔씩 들어가있는 이보어가 낯설기도 했지만 이 소설 속 아버지가 너무나 경악스러울 정도로 억압적이어서 페이지를 넘기기가 곤혹스러웠다. 억압적이기만 하면 마음껏 미워할수라도 있지. 가까운 사람들에게 모질게 상처를 주고 '다 너를 위해서다'라며 스스로 괴로워하는 장면은.. 묘하게 읽는 사람을 참담한 상태로 몰아넣는다.

또 소설적 배경이 한정적이어서 더욱 답답했다. 주인공 킴벌리는 집-고모네 집을 오가며 억압-자유를 이리저리 횡단하는데, 거칠게 말하자면 킴벌리의 유년시절의 끝을 다룬 이야기이다보니 공간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굉장히 좁은 부분만을 오가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게 내가 책을 읽는 내내 답답함을 느꼈던 이유가 아닐까 싶다.

<보라색 히비스커스>에 그려진 이야기가 어떤 곳에서는 소설이 아니라 현실일 것이다. 오히려 소설보다 더 상황이 나쁠지도 모르겠다. 이런 생각을 하면 나는 더욱 참담해진다. 마음껏 증오할 수도 사랑할 수도 없는 아버지여.


www.instagram.com/vivian_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