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시마 노트 오에 겐자부로의 평화 공감 르포 2
오에 겐자부로 지음, 이애숙 옮김 / 삼천리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 폭탄이 떨어졌다. 그 순간 재앙이 시작되었다. 섭씨 3,000도를 넘는 고열과 후폭풍은 히로시마를 폐허로 만들었고, 그 후 5년 동안 인구 35만 명 중 약 20만 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극은 빠르게 잊혀졌다. 일본 정부는 전후 재건과 부흥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내세우며 사람들에게 침묵을 강요했다. 히로시마는 점점 외로운 섬이 되었고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갔다.

그런데 그런 히로시마에 걸어 들어간 사람이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양심적 지식인이라 불리는 작가 오에 겐자부로. 그는 원수폭금지대세계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1963년 처음으로 히로시마를 찾는다.

히로시마를 찾은 겐자부로는 비장했다. 처음의 그는 마치 원폭이라는 거대한 절망 앞에 인간의 나약함을 고백할 마음으로 절망의 땅을 찾는 순례자 같았다. 그러나 원폭기념관, 원폭병원, 평화공원 등을 부지런히 쫓아다니며 예상치 못한 풍경을 만나게 된다. 지옥을 경험한 사람들은 비참한 모습이 아니라 ‘너무나 인간다운 위엄’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피폭된 몸으로 히로시마에 남아 몸 안팎의 원폭과 싸우고 있는 원폭병원 시게토 원장, 기형아를 낳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서도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서 결혼을 한 여성, 죽어 가는 사람들이 모인 원폭병원 안에서 새로운 사회를 발견하고 병원 관리자라는 역할을 떠맡은 사다오 씨… …. 겐자부로는 이들을 가리켜 ‘히로시마적 인간’이라고 부른다. 이토록 성실하게 삶을 꾸려 나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따라가며 겐자부로는 어쩌면 절망은 희망을 꺾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인간은 위엄 있는 존재라는 것을 고백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위엄 앞에 감탄하는 동시에 히로시마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한다. 히로시마에서 위엄을 지키며 성실하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숭고한 것은 비참함을 배경으로 할 때 빛을 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장 무섭고 끔찍한 체험을 겪고, 살아남은 자로서 가장 성실한 삶을 살고 있는 히로시마적 인간들은 아마도 본질적으로 샴쌍둥이처럼 이어져 있는 것 같다. 인간적 비참함의 극한을 폭로함으로써 핵무기 시대에 인간적 희망의 확실한 전망을 세우려는 표리일체의 시도에 기대를 걸어본다.

 

“가장 뼈아프게 노출된 전 인류의 상처” 히로시마는 말한다. 비극은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