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을 범하다 - 서늘하고 매혹적인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이정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드라마를 보면 사람들은 도대체 어떻게 저런 인물과 저런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는지 이해 가지 않을 때가 많다. 그럼 "요새 드라마는!"이라고 채널을 돌려버리는데 사실 이러한 막장의 계보는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장화홍련전, 심청전, 장끼전, 홍길동전, 춘향전, 사씨남정기- 고전소설이라는 이름으로 국어시간에 배웠던 작품들을 곰곰이 생각해자. 막장도 그런 막장은 없다.  이 책은 고전 소설의 인물과 서사적 장치에 주목한다. 

  서사장치에 대해서는 더 공부해야할 것 같고 인물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장화홍련편>이 인상적이었다. 그러니까 소설 속 인물들의 배경, 사회적 배경을 끄집어 낸 것이다. 장화홍련의 계모가 악역을 맡을 수 밖에 없었던 배경에는 가부장 중심의 가족 구조가 있다. 장화홍련의 계모, 사씨남정기의 교씨, 뺑덕어멈 등의 악한 계모의 분노가 향하는 곳은 남편의 정실, 또다른 첩, 혹은 전처의 자식이다. 악인은 그들을 밀어냄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한다. 존재는 남편의 인정으로 규정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표독스러운 식인의 문화는 개인의 품성이 아니라 사회의 구조가 낳은 것이었다. 자유로운 인간 본성을 억압하던 봉건적 규범. 그런점에서 절망적인 것은 이러한 인물들을 아직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들면 <제빵왕 김탁구>의 서인숙. 그러고 보면 여성의 역사는 참 변하지 않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