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의 고통 ㅣ 이후 오퍼스 10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보도사진의 윤리와 관련된 일화를 여러 편 전해들었다. 저널리즘의 생명인 사실성, 끊임없이 유혹하는 선정성, 인간으로서의 윤리, 셔터 한 번 누르는 그 찰나에 무엇을 선택하느냐. 그 것이 문제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러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그 더 깊은 아래 본질을 묻는다.
무언가 익숙해진다는 거- 꼭 좋기만 한 것일까? 읽는 내내 그런 생각이 들었다. 눈 앞에 사진으로 전시되는 타인의 고통- 첫 순간의 강렬한 기억을 지나 사진이 반복적으로 제시된다면 그 것은 무엇을 가져올까? 격정? 분노? 슬픔? 아니. 사람들은 장면에 익숙해질 수록 공감하는 능력을 잃는다. 누군가의 고통이 아니라 하나의 장면으로 사물화된다.
단순히 느낌을 잃어가기만 한다면 나을 지도모른다. 고통을 외면하고자, 아니 잊고자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면. 또 다른 자극은 얼마든지 있으니까. 그러나 어느 순간 타인의 고통은, 그러니까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누군가의 고통은, 사진 밖에 서 있는 내 존재에 안정감을 가져다 준다. 그래서 우리를 구경꾼이나 겁쟁이로 만들고 있다.
최초의 자극을 제시하는 것으로 관심을 끄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사람들도 말이다. 하지만 자극을 주어 반응을 기다리는 1차원적 설계로는 언제나 제자리걸음이다. 용기와 상상력. 그게 공감을 위한 첫 걸음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