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가제 이후로 알라딘 중고서점을 좀 더 눈여겨보고 있는 중이다.

 

아이 엄마로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유아동 중고책 중 질좋은 단행본은 씨가 말랐다는 것.

그만큼 야무진 엄마들한테 알라딘 중고책방의 가치가 많이 알려졌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런 것은 장기불황 시대에 얇은 지갑에 맞춰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는 것이니 얼마든 환영이다.

 

하지만 납득할 수 없는 변화도 있다.

변화라고 할만큼 추적조사를 한 건 아니고, 정확히 말하면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다.

 

그건 바로 책이 낡아서 정가보다 싸거나, 절판된 희귀도서라서 정가보다 훨씬 비싼게 아닌,

딱 정가로 버젓이 팔리고 있는 중고책들이다.

 

정확히 말하면 10% 할인된 알라딘 판매가와 똑같은 가격으로, 화면 아래쪽에 중고책 매물이 그대로 올라와 있다.

 

 

정가 중고책, 살 이유가 있나?

 

절판된 희귀도서라면 모를까, 현재 판매중이고 심지어 신간이기까지 한 책들을 같은 가격에 중고서점에서 살 이유는 없다. 적어도 내 상식선에서는 그렇다.

 

1. 택배비를 더 물어야 한다. 알라딘에서 구입하면 무료배송인데, 중고책방을 이용하면 택배비가 있다. 그리고 이런 매물을 내놓는 판매자는 '무조건 택배비 5천원' 등의 정책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2. 'O만원 이상 구매시 택배비 무료'인 판매자를 발견한다 해도,

그 판매자의 다른 도서 중에서 내가 사고싶은 책을 골라내기 힘들다. 그러기엔 알라딘 중고샵의 네비게이션 구조가 좋지 않다. 투입해야 하는 시간비용이 너무 많다.

 

3. 판매자가 정직하게 품질책정을 한다지만, 그래도 품질 리스크는 존재한다.

 

 

나같은 일개 소비자에게 이게 왜 문제되나?

 

2003~4년부터 알라딘을 이용해 왔다. 예전에는 Yes24와 교보문고에 양다리, 세다리를 걸치고 있었지만 지금은 알라딘으로 정착한 상태다. 이유는 알라딘의 브랜드가 좋아서다. 알라딘의 기업철학과 조유식 대표가 추구하는 방향, 벌이고 있는 여러 시도들이 마음에 들어서다.

 

그런데 중고책방이 아무리 오픈마켓이라지만, 위에서 말한 정가 중고책은 눈에 심히 거슬린다.

이 불편함의 이유에 대해 한동안 생각해보고 결론을 얻었다.

 

한마디로, 고객한테 사라고 올려놓은 상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알라딘 바깥 세상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자기 이익만 챙기는 판매자들의 추태.

그것과 뭐가 다른가?

왜 내가 알라딘에서 저런 상품이 버젓이 올라와있는 꼴을 보아야 하는가? 

옥션, 지마켓 같은 오픈마켓 쇼핑몰과 알라딘이 같아질 수는 없다.

설사 중고책에 한해서만 오픈마켓 정책을 가져간다 하더라도,

알라딘의 브랜드 이미지, 기업 철학과 맞지 않는 부분은 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알라딘의 입장은....

 

(작성 중. 1:1 고객상담에서 받은 답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티비 2015-07-23 0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정말 이해할 수 없어요! 나원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