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검시관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민경욱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여러 가지의 살인사건을 둘러싼 일들에 대한 스토리가 있다. 이런 단편들에 빠지지 않고 나오는 사람은 냉철함으로 일을 처리하는 무뚝뚝한 구라이시 검사관이다. 세상에 둘러싼 죽음의 사건을 풀어가는 그의 모습은 냉철함으로 무장했고, 단 1그램의 오차도 내지 않겠다는 생각이 마치 신념인양 수사에 몰두한다.
처음에는 그런 그의 모습에서는 인간미라고는 절대 느낄수 없었다. 살인 사건은 하얀 종이위에 검은 글씨로 인쇄된 감정없는 문제같은 것이 아니기에 구라이시는 더욱 더 무뚝뚝하고 냉철하게 수사에 임하는게 아닌가 싶었다. 더이상 숨결을 느낄수 없게 되어버린 시체는 이 세상에는 없는 존재가 되어버리고 만다. 유에서 무가 되어버리고마는 '죽음'에 관해서 풀어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사체가 발견된 방에서 떨어진 꽃잎 하나, 소복히 쌓인 건조한 먼지들이 실마리를 풀어나가는데 가장 큰 증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 수많은 검시관을 해온 구라이시를 냉철하게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한 구의 시체가 발견 되었다고 보고가 되면 과연 타살인가? 자살인가? 만을 알아냈다면 이 책은 매우 재미가 없었을 것이다. 죽음을 당한 혹은 죽음으로 다가간 자들의 과거로 거침없이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 사건을 푸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아니 도움이라기 보다는 차디찬 시체의 죽음의 사건에 대해 감정이 생긴다.

이런 사건보다도 더 차가울 것같은 구라이시는 내가 느끼는 감정보다 더 큰 뜨거움을 가진 사람이다. 그러한 열정으로 자신이 맡은 업무에 최선을 다한다. 모두가 맞다고 하는 일에도 조금의 의문이 생기면 원점으로 다시 돌아간다. 자신의 영역안에서 알 수 없을 것 같은 것이라도 끝까지 추궁해낸다. 손바닥 뒤집듯이 쉽게 뒤집는 것 같이 짧게 일을 해결하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을 쓴 작가에 대해서 놀라웠다. 짧지만 정확하게,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쓰여진 이야기들은 각 각 단편의 맨 마지막 부분을 읽고 난 뒤 나에게 많은 생각을 주기 때문이다. 어떤 작품들은 앞장을 다시 펴게 만들기도 했다. 책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주고 있다. 재미, 감동, 교훈 등등.. 여러가지를 나에게 주는 책을 몇 되지 않는다. 특히 추리소설을 평소 소원하게 했던 나에게는 더욱 더 그러하다. 하지만 이 책은 여재미와 감동은 물론 "추리"소설을 다시 잡게 만드는 동기를 부여했다.

마지막으로 나는 과연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서 구라이시와 같은 냉철함과 무장함 반면에 미온의 열정이라도 가지고 임하고 있는가? 다시 되돌아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