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아우슈비츠"로 끌려간 프리모 레비의 증언.
수용소로 향하는 길은 "죽음의 문" 이라고 할 정도로 끔찍했다. 인간이기를 포기해야만 했던 그 당시의 포로들의 삶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을때 알 수 없는 뜨거운것이 내 가슴 깊은 곳에서 끓어오르고 있었다. 인간은 매우 이기적이기 때문에 내 손톱 밑에 나무 가시가 박힌 고통이 어떠한 고통을 받는 사람보다 아프게 느끼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나는 프리모 레비가 느낀 고통을 제대로 느끼지는 못했을지도 모른다. 특히 그의 담담하게 표현한 문체를 통한 진술은 나를 더욱 더 그렇게 만들었다. 


아침을 알리는 소리가 퍼지는 순간 그들의 하루를 힘겹게 시작된다. 아침을 깨우는 그 소리가 울려퍼지는 순간 그들은 인간이 아닌 일종의 로봇이 된다. 명령하는 자와 명령을 따라야만 하는 로봇사이에는 "언어'란 없다.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단순한 말을 내뱉는 자들 사이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상황에서도 인생의 마지막 끈을 쥐고 있는 모습에 울컥했다. 그들이 쇳동이로 된 로봇에 불과했다면 과도한 노동으로 인해 녹이 슬거나 고장이 나버렸을지도 모르지만 그들은 인간이였다. 인생의 마지막 끈을 쥐고 숨을 쉬는 것은 언젠가는 다시 돌아갈 수 있을꺼란 희미한 희망과, 가족과 그들에게 의미가 있을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다. 애석하게도 생존자는 몇 명이 되지 않았다. 
   
"왜?" 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이성이 있는 인간에게 "아무런 이유가 없다."라는 대답만이 돌아오는 수용소에서의 삶이 인간답지 못하다고 생각했던 처음 생각과는 다르게, 어쩌면 이것이 우리 인간들의 삶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생각하고 나서는 씁쓸해졌다. 왜냐하면 과거의 일은 과거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고, 현재 또는 미래에 언제가 다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가 레비가 그 곳에서 삶의 끈을 놓지 않도록 버티게 해 준것이 아닌가 싶다. 작가는 '사람들아,이러한 곳에서 나는 이러한 일을 겪었소. 참으로 인간답지 못한 삶이 었소.' 라고 단순하게 말하는 것이 아니었다. 과거에 겪었던 참혹한 일을 통해 새로운 메세지를 주는 것이다. 끔직했던 삶을 진술한다는 것은 과거의 겪었던 고통보다 배로 고통스러울 수 있다. 
  
예전에 O날O일 어떠한 프로그램 배경으로 깔렸던 노래가 일제시대 우리에게 세뇌시켰던 노래였다고 사과문을 띄웠던 일이 있었다. 음악이라는 매개체로 하여금 그 당시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의 아픔이 되살아 났기 때문이다. 레비가 수용소에서 살아 돌아와서 어떤 상황에서 그 끔찍함을 다시금 느꼈을지도 모른다. 그는 자신의 고통이 되 살아난다는 것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이것이 인간인가"라는 책을 남겼다. 단순히 그 당시의 고통을 간접적으로 느끼는 것을 넘어서 언젠가 다시 돌아올지 모르는 고통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것이 레비가 원하는 것이라고 확신하다. 그리고 "과거"는 과거 한 순간으로 생각하고 넘기지 않고, 되새겨 보아야 할 이유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