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장의 잎사귀처럼 - <사이보그 선언문>의 저자 다나 J. 해러웨이의 지적 탐험, 다알로고스총서 2
사이어자 니콜스 구디브.다나 J. 해러웨이 지음, 민경숙 옮김 / 갈무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병은 관계이다.”

‘다나 J. 해러웨이’라는 이름은 익숙하지 않다. 하지만 그녀가 말하고 그녀가 연구하는 것들은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다. 또한, 그녀는 새롭다. 그녀는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을 새롭게 보게 만든다. 『한 장의 잎사귀처럼』은 익숙하고 새로운 것을 말하는 해러웨이의 삶과 사상을 대담이라는 형식으로 쉽게 전해주고 있다.

익숙한 것에서부터 시작해보자. 사람들은 감기가 들었을 때 어떤 생각을 하거나 말하는가? ‘감기를 이겨내야 한다.’ 이것이 통상적인 반응이다. 인간 몸의 면역체계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전쟁터’로 인식된다. 하지만 해러웨이는 이런 이해가 “냉전 수사학”으로 적절하지 않고, 면역체계는 “자기-인식(self-recognition)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24쪽)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몸 속 세포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고 서로 도와준다는 것이다. 생물학자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으며 그들은 이것이 ‘몸의 실수’라고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해러웨이는 이것을 좀더 적극적으로 사고하여 “서로를 인식하지 못하면 감염은 일어나지 않”고 그렇기에 “질병은 관계”라고 말한다.(131쪽) 우리가 그녀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질병에 대한 이해뿐 만 아니라 병 치료에 관해서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병이 들었을 때 바이러스를 죽이겠다는 생각으로 약을 먹고 치료를 하기 보단 (동양 의학에서 말하듯이) 몸의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하고 병을 다스리는 치료를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해러웨이는 이 밖에도 면역체계가 몸속에서 중요한 세포체계 간의 의사소통에 공간이라는 점도 강조한다. 이것은 세포 간에도 서로를 인식하고 관계 맺는 소통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것은 관계의 문제이고, 관계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맺어지느냐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즉, 세포도 구체적인 관계-맺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러웨이는 적은 표본으로 협소한 목록 만들기 식의 게놈 프로젝트를 비판한다.

또한 그녀는 인간의 모든 문제를 ‘유전자’로 해석하는 “유전자 물신주의”를 파괴적이고 나쁜 생물학이라고 말하며, 이런 상황은 현 시대에 유전자 연구가 대중적 존경을 받으며 자본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연출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런 지적은 ‘황우석 박사 신드롬’이라고 할 정도로 유전자 연구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곱씹을 만하다.

이 밖에도 이 책에서 그녀의 다양한 철학적, 문학적 면모와 그녀가 연구를 시작하고 지속시킬 수 있었던 삶의 모습을 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다. 특히, 철학, 문학, 생물학을 넘다드는 그녀의 연구는 역동적인 ‘지적 모험’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