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해가 지는 곳으로 오늘의 젊은 작가 16
최진영 지음 / 민음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난 시대에 "사랑은 남는다"(192쪽)는 이 소설의 이야기는 '사랑이 이긴다'는 구호의 변주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1-27 18: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절대민주주의 - Absolute Democracy 신자유주의 이후의 생명과 혁명 아우또노미아총서 54
조정환 지음 / 갈무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촛불항쟁이 현재의 힘을 유지하며 민주주의를 더 확장시키기 위한 촛불시민을 위한 필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 새로운 공유의 시대를 살아가는 공유인을 위한 안내서 아우또노미아총서 51
데이비드 볼리어 지음, 배수현 옮김 / 갈무리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유의 비극`을 비판하고 `시장의 비극`을 주장하며 `공유인으로 상상하라`고 외치는 역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의 시를 향하여 - 노동시와 아방가르드 다중지성총서 6
이성혁 지음 / 갈무리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시에 대한 방대하며 흥미로운 평론집. `시`와 `정치` 사이 혹은 이 둘을 포괄하는 `노동`이 있음을 사유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11의 희생양 - 테러와의 전쟁에서 증오범죄와 국가범죄 카이로스총서 22
마이클 웰치 지음, 박진우 옮김 / 갈무리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언론에서는 ‘노르웨이의 브레이빅 테러’를 ‘증오범죄’(hate crimes)라는 단어를 통해 분석하는 기사를 앞다투어 보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출간된 『9.11의 희생양: 테러와의 전쟁에서 증오범죄와 국가범죄』(갈무리, 2011)의 저자 마이클 웰치는, 이 책에서 이미 이와 유사한 사태들을 예의 주시하고 탁월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번 ‘노르웨이 테러’ 사건을 이해할 때 놓쳐서는 안 될 책입니다.

우선, 언론 기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노르웨이 연쇄테러 참사가 ‘외로운 극단주의자’의 증오범죄로 드러나면서 전 세계에 다시 한번 경종을 울리고 있다.”(<동아일보>, 2011년 7월 25일자)

“노르웨이의 다문화주의와 이슬람에 대한 증오범죄는 시작일 뿐이며, 앞으로 더 많이 발생할 것이다. 노르웨이 연쇄테러는 잠을 깨우는 일종의 자명종이다.”(<문화일보>, 2011년 7월 25일자)

“이번 사건 이전에도 수많은 증오범죄가 있었는데요, 이번 사건에 다른 점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2011년 7월 25일 뉴스)

그리고 ‘노르웨이 테러’ 사건이, 2001년 9월 11일 ‘테러’가 전세계적으로 퍼진 여파라는 진단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진단의 예로, <프레시안>에 게재된 증오범죄 해외 전문가의 글에서는, 노르웨이 테러와 9.11의 ‘테러’ 사건 이후의 현상을 관계 짓고 있습니다.

“확고한 결론을 내리기 전에 경찰의 조사와 재판 과정을 지켜봐야 할 것이지만, 9.11 사태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형성되는 폭력적인 극우 민족주의적 분위기와 이슬람공포증이 확산되는 현상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프레시안>, 2011년 7월 25일자)

『9.11의 희생양』「5장 반격폭력으로서의 증오범죄」에서는 9.11 테러, 증오범죄 그리고 희생양 개념을 통해 현실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저자 웰치는 5장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세계무역센터와 미국 국방성을 목표로 한 테러공격으로 촉발되어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민족폭력을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증오범죄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희생양 만들기의 메커니즘뿐 아니라 희생양 만들기를 위해 필요한 광범위한 사회적 토대를 설명하기 위해, 종교적 적대감이 표출된 사회적 현상을 다시 한 번 다룸으로써 증오범죄를 심층적으로 논할 것이다.”(122쪽)

주요 내용을 좀 더 인용해 보겠습니다.

“9·11 테러에 대한 대응방법들은 증오범죄와 이것의 필요조건인 적대감들의 형태로 나타났다. (...) 1천 명 가량의 이슬람 출신의 미국인들 가운데 48%가 9·11 테러 발생 이후 그들의 삶의 질이 악화되었다고 말했다. 게다가 57%의 사람들이 이슬람이라는 이유로 욕설을 듣는 경우부터 증오범죄의 희생자가 되는 사건에 이르기까지, 편견 혹은 차별에 따른 공격행위를 경험했다고 말했다.”(132쪽)

“희생양 만들기와 증오범죄는 “타자”를 사악한 존재로 치부하는 과정, 다시 말해 악마 만들기에 따라 진행된다. 따라서 “그들”을 향한 폭력은 영구적 선善을 방어한다는 점에서 정당하다고 여겨진다.“(134쪽)

그리고 저자는 인종주의와 증오범죄와의 관련성도 날카롭게 지적합니다.

“민족폭력을 자행하는 백인들은, 자신이 백인이라는 사실이 더 이상 어떤 사회적 지위와 안전을 보장해 주지 않음을 깨달았기 때문에 자기 성별과 인종, 그리고 국가 정체성에 위협이 되는 것들에 대해 기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다수의 백인들이 그동안 유색인종들만이 줄곧 경험해 온 배제와 박탈감을 맛보게 된 것이다. ‘희생양=백인’ 이미지는, 백인들이 유색인종들을 희생양으로 처벌하는 일을 정당화해 줄 이데올로기적 근거를 제공한다.”(136쪽)

이외에도 『9.11의 희생양』에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도 새겨볼만한 풍부한 자료들과 분석들이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