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4분 33초 - 제6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이서수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해서 나는 무엇을 말해야할지 어렵게 느껴졌어. 책을 읽는 어느 순간에는 너무나도 현실적이어서 답답했고 또 어떤 한 순간에는 비현실적이어서 무덤덤했어.

이기동, 일등, 최장기수 누님 셋의 이야기들은 현실의 누구의 이야기인 것 같은 생생함이 있었지만 이기동과 누님의 결혼 생활은 그들의 대화는 (아주 편견으로 똘똘 뭉친) 나에게 있어서는 현실감이 느껴지지가 않았어. 그들은 쿨한건가, 이기동의 말처럼 그만큼 사랑하지 않는걸까?

초반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수능, 그까짓 수능이 뭐라고 대학이 뭐라고 재수학원을 다니며 몇년을 몇해를 그렇게 낭비하듯 젊음을 소비해야하는 걸까 하는 안타까움. 나는 보통의 세상 그 테두리 밖의 사람이기에 이해가 잘 되지는 않았어.

매번 일등을 하던 일등도 공부를 잘 하지 못했던 이기동도 최장기수 누님도 나는 안타까웠어. 그러한 삶이 소설에만 존재하는 건 아닐테니까.

시간은 차근차근 흐르고 일등은 사라지고 이기동과 누님은 결혼을 했어. 이기동은 작가, 누님은 공무원이었어. 일등은 다시 나타나 아이가 생겨 결혼을 했고 책임감으로 강사가 되었어. 결혼한 누님의 연애도, 일등의 연애도 내 마음은 이해하지를 못했어. 무덤덤하면서도 때때로 화가 나기도 했어. 무료한 대화들과 그들의 일상 사이로 내 마음이 내 감정이 어쩐지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어서 내 감정은 금새 사라졌고 나는 그들이 해피엔딩이기를 웃음짓기를 바라기도 했어.

내 삶은 나를 주체로 하지 않고 그저 묵묵히 흐르고 나는 그 시간 속을 유영하듯 둥둥 떠다니고 때때로 표류하기도 하니까, 노력속에서 노력한 것만큼의 결과가 없어서 그들의 삶이 방향을 잃고 헤매는 것과 어쩐지 닮아 보였으니까. 그들이 행복하면 나도 곧 행복해질 것만 같아서 말야.

그들은 행복할까. 비극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마음이 무거워졌던 책. 그들의 삶으로 뛰쳐들어가 대화를 하고 싶은 기분에 휩싸였지. 행복할까 행복했을까.


224p 문득 살아서 무얼 할까 싶었다. 얼른 늙어 죽고 싶었다. 횡단보도에 서서 도무지 바뀌지 않는 신호기를 노려보다가 깨달았다. 아무것도 해낸 게 없어. 아무것도.
나의 삶은 백지처럼 하얗고, 아무것도.
나의 삶은 황무지처럼 냄새가 없고, 아무것도.
나의 삶은 아무것도 아닌, 아무도 아닌 삶.
도피가 필요했다. 그러나 어디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른세 살 직장인, 회사 대신 절에 갔습니다
신민정 지음 / 북로그컴퍼니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년 전 나도 절에 가고 싶었던 순간이 있었다. 어딘가로 떠나고 싶었고, 그곳은 사람이 많지않고 무의미한 대화가 없는 곳이었으면 해서말야. 몇몇 절 중에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선방이 있는 곳을 동해쪽에서 보았고, 떠날까 수없이 고민했지만 나는 그러지를 못했어.

아무리 힘들어도 사람에 치여 상처받고 그 상처가 곪았어도, 익숙한 이 곳을 떠나 새로운 곳에 간다는 건 그렇게 쉽지가 않더라. 여행이랑은 또 다른 떠남. 도망치는 기분도 패배자가 되는 듯한 기분도 들었고 말야.

고민만 하고 망설이며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나와는 달리 작가는 행동을 했어. 서울에서 직장을 다니며 상처 받고 상처 받으며 퇴사를 한 작가는 절로 떠났어. 힘든 마음에 잠시 머물 생각이었지만 어쩌다보니 그곳에서 100일을 보냈고 스님, 보살님, 행자님들과의 대화들이 내 마음에도 스미더라. 의미없어 보이는 절을 하거나, 경전을 읽는 행동도 작가에게는 깨달음을 주었고 스스로 아픔을 치유해가는 과정을 보며 부럽다고도 느꼈어.

우리 모두 사람들과의 사이에서 크고 작은 상처를 받으며 살아가는데 그것이 곪아 나쁜 선택을 하고는 하는 이 세상에서 아주 건전하고도 건강한 방법으로 자신을 돌보는 건 멋진거니까.

스님의 말씀이 더 많았으면 좋았겠다 싶을만큼, 몇몇 내용들이 나에게도 도움이 되었어. 나는 정말 내 몸이 원하는대로 편한 것만을 해왔어. 싫은 건 힘든 건 하지 않았어. 졸리면 자고, 배고프면 먹고, 눕고 싶으면 눕고, 아침에 일어나고 싶지 않으면 점심까지 그대로 누워 있기도 했어. 스님 말씀에 그런 내 행동들이 부끄러워지기도 했지.

책을 읽으며 언제부턴가 웃지 않는 나를 위해 웃어볼까 생각하기도 하고 명상? 그거 나도 해볼까 싶기도 했어. 나도 내 마음을 치유해가고 싶어. 그럴 수 있다면 좋겠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얼마나 만만해 보였으면 (사이다 에디션) - 좋은 사람이 되려다 쉬운 사람이 되었다
전대진 지음 / 넥서스BOOKS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내용을 내 입으로 사람들에게 말하면 너는 왜 그렇게 불만이 많니? 라고 핀잔을 들을 것 같았어. 아니 수없이 말해왔고 공감 받기도 했지만, 쟤는 매사에 부정적이야. 늘 불만이야. 그런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었어. 분명 잘못한 건 내가 아닌데, 불만이 아니라 당연한 걸 하지 않고 지키지 않는 사람을 향한 말들인데 어쩐지 내가 말하면 그렇게 들리지가 않나보더라.

그래서 나는 입을 다물고 사람을 멀리하고 그냥 그렇기 지내. 가끔은 말이 하고 싶을 때가 있어. 나에 대해서, 내 감정 내 상황에 대해서도 그렇지민 상대에 대해서도. 책을 읽으면서 대화가 하고 싶을 때 이 책을 읽은 사람을 찾아야겠다 싶었어. 그러면 더는 내가 이상한 사람이 되지 않을테니까 말야.


160p
사람이 가장 외로운 때

1. 혼자일 때
2 옆에 누가 있어도 혼자인 것 같을 때
3. 아픈데 아무도 안 알아줄 때
4. 타지에 살아서 시간이 있어도 만날 수 있는 사람이 없을 때
5. 지금

당신은 몇번인가요?


나는 아주 가끔 어쩌다 한번 아무 이유도 없이 마음이 요동칠 때가 있어. 이유도 없이 원인도 없이 그냥 마음이 막 외로워져서 미칠것만 같을 때가 있어. 하루 하루 나도 모르게 아주 조금씩 쌓이고 쌓여서 그 외로움이 무거어져서 내가 눈치채게 된걸까. 알 수 없지만 그 외로움이 싫어서 그냥 깊은 무기력증이 찾아 온 날들이 요즘은 좋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상처 받은적이 없는 사람은 없겠지. 그러니 누가 읽어도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의 책이라고 생각해. 상대에게 말은 못하고 혼자 상처를 안아들고 괴로워하지 말기를. (나를 포함해서) 그리고 이런 책을 읽으며 감정을 소비하는 것도 좋은 것 같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판본 오셀로 (양장) - 1622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김민애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오셀로의 이야기를 책으로 읽은 건 이번이 처음이었어. 나에게 오셀로는 늘 연극으로 만났던 작품이었지. 우연하게 본 오델로와 이아고라는 연극에 흠뻑 빠져서 같은 배우의 극도 다른 배우의 극도 무조건 보러다녔어. 그러다 어느순간 잊힌줄도 모른채 잊혀졌던 오셀로.

이번에 더클래식에서 오셀로가 출판된 걸 보고는 내가 그동안 오셀로의 진짜 이야기를 모르고 있었을 수도 있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어. 그래서 읽기 시작했지.

질투의 이야기라고도 하던데 나는 사실 오셀로는 과연 질투라는 감정을 느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어. 사랑하는 데스데모나를 정말 사랑했을까라는 생각도.

오셀로 자신에게 틈이 있었으니까 그 틈을 집요하게 파고 드는 이아고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자신을 파멸의 길로 스스로 인도한 게 아닐까. 데스데모나를 향한 확고한 사랑과 믿음이 있었더라면 이아고의 말들은 한낱 거짓과 농간으로 치부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의심은 믿지 못하니까 하게 되는 거라고 생각해. 의심이 의심을 낳고 의심이 망상을 낳고 의심이 지옥을 만들어 자신을 그 지옥으로 밀어넣는거지. 너무나 안타깝고 너무나 슬픈일이지.

데스데모나를 정말 사랑했더라면, 믿었더라면 오셀로는 그러한 비극에 놓이지 않을거라고 생각해. 이아고가 아니라 나는 자꾸 오셀로를 탓하게 되는거야. 이아고의 추잡하고 더러운 말에 속은 오셀로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셀로 더클래식 세계문학 컬렉션 (한글판) 84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김민애 옮김 / 더클래식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셀로의 이야기를 책으로 읽은 건 이번이 처음이었어. 나에게 오셀로는 늘 연극으로 만났던 작품이었지. 우연하게 본 오델로와 이아고라는 연극에 흠뻑 빠져서 같은 배우의 극도 다른 배우의 극도 무조건 보러다녔어. 그러다 어느순간 잊힌줄도 모른채 잊혀졌던 오셀로.

이번에 더클래식에서 오셀로가 출판된 걸 보고는 내가 그동안 오셀로의 진짜 이야기를 모르고 있었을 수도 있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어. 그래서 읽기 시작했지.

질투의 이야기라고도 하던데 나는 사실 오셀로는 과연 질투라는 감정을 느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어. 사랑하는 데스데모나를 정말 사랑했을까라는 생각도.

오셀로 자신에게 틈이 있었으니까 그 틈을 집요하게 파고 드는 이아고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자신을 파멸의 길로 스스로 인도한 게 아닐까. 데스데모나를 향한 확고한 사랑과 믿음이 있었더라면 이아고의 말들은 한낱 거짓과 농간으로 치부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의심은 믿지 못하니까 하게 되는 거라고 생각해. 의심이 의심을 낳고 의심이 망상을 낳고 의심이 지옥을 만들어 자신을 그 지옥으로 밀어넣는거지. 너무나 안타깝고 너무나 슬픈일이지.

데스데모나를 정말 사랑했더라면, 믿었더라면 오셀로는 그러한 비극에 놓이지 않을거라고 생각해. 이아고가 아니라 나는 자꾸 오셀로를 탓하게 되는거야. 이아고의 추잡하고 더러운 말에 속은 오셀로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